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비상진료에 따른 병·의원 이용안내 페이지로 바로가기 의대 증원 필요성과 의사 집단행동 관련 영상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33년 전 오늘, 6·10항쟁 기억의 의미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33년 전 오늘, 6·10항쟁 기억의 의미는?

등록일 : 2020.06.10

최대환 앵커>
33년 전 이날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란다는 각오로 거리에 나섰던 사람들.
국민들은 그렇게 호헌철폐, 대통령 직선제를 이뤄냈습니다.
그리고 2020년 이제 우리 민주주의는 끊임없는 저항과 운동을 딛고 서서 시민들의 참여와 관심을 통해서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행동하는 사람들과 그 역사를 기억하는 사람들, 결국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힘은 행동과 기억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오늘은 그 기억에 대해 다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역사학자이신 성공회대학교 심용환 외래교수와 함께합니다.

(출연: 심용환 /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

최대환 앵커>
1987년 6월 10일, 이제 벌써 33년 전의 일이 됐습니다.
33년 전 그날 무슨 일이 어떻게 시작된 거였나요?

최대환 앵커>
6.10항쟁이 일어난 이유는 기본적으로 독재와 인권탄압인데 그 직접적인 발발 계기는 박종철 고문 치사사건이었다고 봐야겠죠?

최대환 앵커>
이러한 6.10 항쟁은 그 평가에서도 우여곡절이 있었습니다.
특히 미완의 혁명이라는 평가도 오래 있어왔는데 어떻게 보시는지요?

최대환 앵커>
그러고 보면 한국에서 이른바 아래로부터의 운동은 끊임없이 일어났습니다.
일단 4.19부터 5.18, 6.10까지 민주주의가 늦게 이식된 국가라는 관점이 무색할 정도이지 않습니까?

최대환 앵커>
6.10항쟁이 이렇게 국가기념일로 지정되고 또 기념식이 열린 지는 이제 13년인데요.
이렇게 민주화운동을 기억하고 또 기념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최대환 앵커>
마지막으로 한국 민주주의의 분기점이 된 일에 대해 이야기를 하다보니 또 지금 이순간은 어떻게 기록될지 궁금하다는 생각도 드는데요.
이렇게 우리가 이뤄온 민주주의 코로나 이후에는 어떤 길을 가게 될까요?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성공회대학교 심용환 외래교수와 함께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