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최신뉴스
-
전북 부안군 [함께 힐링]
전북 부안군
-
트럼프, 환율조작·부가세 등 비관세장벽 8개 나열
김경호 앵커>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비관세 부정행위' 8개 유형을 나열하며 관세 정책의 정당성을 내세웠습니다.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이후 많은 국가 지도자들이 자신을 찾아왔다고도 언급했습니다.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이혜진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20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
-
한 대행 "국익 최우선···한미 윈-윈 방안 찾을 것"
김경호 앵커>한미 통상협의를 앞두고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 회의'가 열렸습니다.회의를 주재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국익 최우선 원칙 아래 상호 윈윈 방안을 찾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습니다.문기혁 기자입니다.문기혁 기자>제5차 경제안보전략 TF 회의(장소: 21일, 정부서울청사)'한미 2+2 통상협의'를 앞두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경제...
-
군 정찰위성 4호기 내일 미국서 발사
김경호 앵커>국방부는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가 한국시간 내일 오전 9시 48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이 위성은 군의 중대형 정찰위성 확보를 위한 '425 사업'을 통해 발사하는 네 번째 위성입니다.군은 4호기 발사에 성공하면 앞서 발사된 1, 2, 3호기와의 군집운용으로 한반도 재방문주기를 단축해 북한...
-
공군 "기관총 낙하, 조종사가 히터 조절하려다 버튼 실수"
김경호 앵커>최근 발생한 KA-1 공중통제공격기의 기관총·연료탱크 낙하사고는 조종사가 히터 풍량을 조절하려다 버튼을 잘못 눌러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공군은 조종사 진술 등을 조사한 결과, 사고 원인이 후방석 조종사의 부주의로 확인됐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당시 야간투시경을 쓰고 모의사격 훈련 중이던 조종사는 히터 바람으로 시야에 불편을 느껴 풍량을 조절...
-
트럼프, 환율조작·부가세 등 비관세장벽 8개 나열
김용민 앵커>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비관세 부정행위' 8개 유형을 나열하며 관세 정책의 정당성을 내세웠습니다.김현지 앵커>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이후 많은 국가 지도자들이 자신을 찾아왔다고도 언급했습니다.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이혜진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20일, 자신의 소셜미...
-
한미 2+2 관세협상···통상·안보 분리 대응
김용민 앵커>한미 정부가 이번 주 예고된 관세 협상을 양국 재무, 통상 수장들이 함께 참석하는 2+2 협의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김현지 앵커>정부는 통상과 안보 현안을 분리해 협상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박지선 기자입니다.박지선 기자>한미 관세협상이 이번 주 미국 워싱턴DC에서 양국 재무, 통상 장관들이 참석하는 2+2 통상 협의로 진행됩니다.협의는 ...
-
중기부,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확인지급 개시
김용민 앵커>고물가와 고금리 속 영세 소상공인에게 배달비와 택배비로 인한 부담도 만만치가 않습니다.김현지 앵커>지난 2월 배달앱을 이용하는 소상공인의 배달비를 지원했던 정부가 이번엔 배달앱을 이용하지 않거나 직접 배달에 나선 소상공인을 지원합니다.윤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윤현석 기자>배달 문화 확산으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배달.고물가, 고금리 등 위기 ...
-
녹색기업 지원 사업 점검···부적정 사례 무더기 적발
김용민 앵커>정부가 친환경 스타트업·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실태를 점검한 결과, 부적정 사례가 무더기 적발됐습니다.김현지 앵커>사업비를 더 받으려고 이중 청구하거나 대표자 가족이 운영하는 회사에 용역비를 지급하기도 했습니다.임보라 기자의 보도입니다.임보라 기자>정부가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과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지원사업' 실태를 살핀 결과, 부적정 사례 ...
-
최근 3년 게임 소비자 피해 1천여 건···계약·약관 확인 필수
김용민 앵커>온라인 게임 시장의 규모가 커지면서 관련 소비자 피해도 늘어나고 있습니다.김현지 앵커>소비자원은 게임이나 아이템을 구매하기 전 계약 내용과 약관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최다희 기자의 보도입니다.최다희 기자>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는 국내 게임 산업 규모.2023년에는 전년 대비 3.4% 성장한 22조 9천642억 원으로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