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2024.6.4~6.5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한국·북한·중국, UN회의서 일본에 위안부 공세

주간 정책 하이라이트

한국·북한·중국, UN회의서 일본에 위안부 공세

등록일 : 2012.11.05

유엔 회의에서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우리나라와 북한, 중국 등 여러 회원국들이 일본을 거세게 압박했습니다.

일본의 기존 주장을 되풀이하면서 발을 뺐습니다.

김경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가별 정례 유엔 인권 검토회의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먼저 한국대표단은 일본이 법적 책임을 인식하고 피해자가 납득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 인정과 사과, 배상을 요구했습니다.

북한과 중국도 일본이 역사를 직시해 책임지고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과하고 배상해야 한다며 비판에 가세했습니다.

네덜란드는 일본 교과서에 군 성노예 시스템이 더는 언급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일본의 다음 세대가 이 문제에 관해 알 수 있도록 어떤 조치를 하고 있는지 물었습니다.

특히 네덜란드는 위안부라는 표현 대신 성 노예라는 표현을 사용해 일본에 의한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부각시켰습니다.

코스타리카와 동티모르, 벨라루스도 일본에 위안부 문제 해결을 권고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위안부 문제로 일본을 압박한 나라는 모두 7개국으로 지난 회의 때보다 더 많은 나라가 일본의 책임있는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조태영 대변인 / 외교통상부

"지난 2008년 제1차 일본에 대한 정례인권검토 심의에서 4개국이 발언한 것에 비해 늘어난 숫자입니다. 국제사회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한 관심이 제고된 것으로도 볼 수 있겠습니다."

일본 대표단은 이에 대해 위안부 문제를 인식하고 있고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 문제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상대국과의 조약으로 이미 해결된 사항이라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지난 2008년 도입된 국가별 정례 유엔 인권 검토회의는 유엔 회원국의 인권 상황을 회원국들이 서로 점검하고 개선 방향을 권고하는 제도로, 각 회원국은 4년에 한 번 정도 검토를 받습니다.

KTV 김경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