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2024.6.4~6.5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박근혜정부 1년…원칙·신뢰의 대북정책

지난 1년 동안 정부가 추진했던 주요 정책들을 4대 국정기조를 중심으로 조명해 보는 시간입니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로 대표되는 대북정책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부분인데요.

오늘은 원칙과 신뢰를 바탕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나나내고 있는 대북정책을 돌아봤습니다.

강필성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박근혜 정부 출범 직전 북한은 3차 핵실험으로 도발의 수위를 한껏 높였습니다.

정부 출범 후에는 정전협정 백지화, 남북 불가침 합의 파기 등으로 위협 수위를 높였고 경제협력의 상징이었던 개성공단 가동도 중단시켰습니다.

정부의 대응은 일관되고 단호했습니다.

어디로 향할지 모르는 북한의 행보에 흔들림 없는 신중하고 안정적인 대응으로 상황을 유리하게 이끌었습니다.

sync>박근혜 대통령(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 7월 8일)

(“앞으로 남북관계가 잘 성사되려면 상식과 국제적 규범에 맞는 합의를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진 합의는 반드시 지켜져야 신뢰가 쌓이고 발전적 관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우리의 일관된 정책에 북한도 전향적 모습을 보이며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라는 성과를 얻었습니다.

지난해 이산가족 상봉무산으로 다시 한번 얼어붙었던 남북관계는 실무접촉과 고위급 회담 등을 거치며 다시 해빙기를 맞고 있습니다.

3년 4개월여 만에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됐고 통일 대박론을 필두로 통일의 경제적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sync>박근혜 대통령/신년 기자회견/1월 6일

(저는 통일은 대박이라고 생각합니다. 세계적 투자 전문가도 남북 통합이 시작되면 자신의 전 재산을 한반도에 쏟겠다는 가치가 있다고 말했 듯 통일이 되면 우리 경제는 굉장히 도약할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정부는 통일기반 마련을 위해 비핵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치는 한편 대북 인도적 지원도 점차 강화해 나갈 전망입니다.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이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등의 사안에 북측이 호응할 경우 인도적 지원의 수위가 한 층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KTV 강필성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