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2024.6.4~6.5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요금 걱정없는 '자동통역 앱'…인천AG 첫 선

KTV 10 (2013년~2015년 제작)

요금 걱정없는 '자동통역 앱'…인천AG 첫 선

등록일 : 2014.09.02

남>

오는 19일 개막하는 인천 아시아경기대회에서는 국내에서 개발한 자동통역 애플리케이션이 공식 통역서비스로는 첫 선을 보입니다.

여>

네트워크 연결 없이 사용할 수 있어 데이터 요금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김유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자동통역 애플리케이션 지니톡입니다.

스마트폰에 대고 말 하자, 통역된 문장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대편 스마트폰으로 바로 전달됩니다.

기존 자동통역 앱과는 달리, USB 메모리를 통해 앱을 설치한 후 이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 이용에 따른 요금 부담이 없고, 통신 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김흥남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통신에 관계없이 항상 잘 소통할 수 있는 통역비서를 스마트폰에 달고 다니면 정말 편리하겠다는 생각으로 개발했습니다"

한국어와 중국어, 일본어, 영어 등 4개 국어로 서비스되며, 원문과 번역문이 텍스트로 표시되고, 번역된 문장은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자동통역 서비스는 아시아경기대회 사상 처음으로 실시되며, 이번 인천 대회를 시작으로 오는 10월 열리는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권회의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도 활용될 계획입니다.

윤종록 / 미래창조과학부 2차관

"음성인식과 통역 기술, 음성으로 합성하는 기술이 잘 구현된 것이 지니톡입니다. 전세계인들의 친근한 통역사가 될 것입니다"

지니톡에 기반한 통역비서 앱도 선보였습니다.

여기엔 아시아경기대회에 특화된 스포츠 용어 등이 담겼습니다.

김유영 기자 / issamoi@korea.kr

"이 외에 32개 나라 언어로 관광과 숙박 등 실생활에 유용한 2천2백여개 문장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 안에 서비스 상용화를 목표로, 4년 후인 평창 동계올림픽에 불어와 스페인어 등 8개 언어로 자동통역서비스를 실시한다는 계획입니다.

KTV 김유영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