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윤석열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北 잠수함 50여 척 기지이탈'…군, '최고 경계태세'

KTV 특보 수시방송

北 잠수함 50여 척 기지이탈'…군, '최고 경계태세'

등록일 : 2015.08.24

앵커>

남북이 고위급 접촉이 다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서도, 우리 군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습니다.

여전히 최고 수준의 경계태세를 유지하면서 최악의 상황까지 가정해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대비 태세를 갖추고, 북한군의 움직임에 예의주시하고 있는데요.

국방부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최영은 기자, 현재 우리 군 경계 상황 전해주시죠.

기자> 최영은 기자 / 국방부

네, 조금 전 들어온 속보부터 전해드리겠습니다.

군 당국은 동서해상의 북한군 잠수함 70% 가량이 현재 식별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니까 북한 군의 잠수함 70여척 가운데 50척 가량은 자취를 감춘겁니다.

이는 매우 이례적인 움직임으로, 우리 군은 해상 초계기 등 가능한 자원을 총동원해 북한군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이처럼 북한은 한쪽에서는 대화를 하고 있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전면전을 준비하는 듯한 이중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 고위급 접촉에서 아직까지 어떠한 성과도 없는 만큼 군은 고위급 접촉 진행과는 별개로 적의 도발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는 상황입니다.

어제 남북 고위급 접촉이 밤새도록 진행되고, 조금 전 세시부터 또 다시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어떠한 성과도 없는 만큼 군은 고위급 접촉 진행과는 별개로 적의 도발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는 상황입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여전히 언제든 도발할 수 있는 수준의 '전시태세'를 갖추고 있다면서 실질적 위협은 전혀 줄어들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도발하면 현지 지휘관 중심으로 주저함 없이 단호하고 충분히 대응한다는 군의 기본 입장도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고위급 접촉이 진행된 이후에도 북한군은 사격 훈련을 이어가고, 전방 부대의 실전 배치 태세를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북한의 전방 일부 지역에는 이번 포격 도발 때 사용된 76.2mm의 평곡사포가 공격태세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군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우리 군은 북한군이 전방으로 전개된 부대를 후방으로 회수하는 등 물리적 위협을 거두지 않는 한 어떠한 상황에서도 대비태세를 늦추지 않겠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앵커>

네, 남북이 여전히 팽팽한 긴장감 속에 있는 가운데 우리 대북 확성기 방송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북한이 일방적으로 정한 대북 확성기 철거시한 48시간 시점인 어제 오후 5시가 지나서도 전방에 배치된 11개의 확성기의 대북 방송은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고, 현재 이 시각에도 계속 진행 중에 있습니다.

군 관계자는 또 이동식 확성기도 보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남북 상황은 아직까지 변한 게 없기 때문에, 확성기 타격 등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한미 양국은 정찰위성과 정찰기 등 정찰 자산을 총동원해 북한군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특히 북한군과 여러 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교전이 벌어질 가능성까지 철저히 대비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추가 도발을 감행하면 양국의 다양한 수단을 동원해 대응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한편 어제 한미연합공군은 북한에 대해 무력시위를 펼쳤는데요.

미7공군의 F-16 전투기와 우리 군의 F-15k전투기 등 8대의 전투기가 북한이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상공에서 편대비행 훈련을 실시했습니다.

이와 함께 군 당국은 내일로 예정된 통합화력 격멸훈련을 예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통합화력 격멸훈련은 2천여 명의 한미 장병과 K2전차, 미국 브래들리 장갑차와 K9자주포, 코브라, 아파치 등 헬기와, F-15k, FA-50 등 다양한 전력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실시됩니다.

아직까지 고위급 접촉에서 어떠한 결과도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이 같은 대규모 훈련 상황은 북한에 커다란 압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KTV 최영은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