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2024.6.4~6.5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동반성장 안착 속 '2·3차 업체 확산' 과제

앞서 보셨듯이 오늘 동반성장주간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정부와 기업들의 노력으로 과거보다 사회 전반에 동반성장 문화가 많이 안착됐지만, 2.3차 협력 업체들로까지 확산시키는 게 앞으로의 과제입니다.

이연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2008년부터 시작해 4회째를 맞는 동반성장주간 행사에는, 정부와 경제단체 관계자 25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심화되는 산업계 양극화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9.29 동반성장 대책을 발표한 지 2년이 지났습니다.

홍석우 장관 / 지식경제부

"규제보다 사회적 합의와 협력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진일보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국내 30대 대기업이 올해 동반성장을 위해 투입한 자금은 4조2천억 원.

재작년과 비교해 배 가까이 증가했다는 사실이, 동반성장 문화의 확산을 간접적으로 말해줍니다.

하지만 동반성장의 분위기가 2.3차 협력사들까지는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해결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번에 동반성장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6개 기업입니다.

다음은 최근 5년간 동반성장의 기준이 되는 공정거래법을 위반한 6개 기업 명단입니다.

공정거래 위반 1위를 기록한 삼성의 법 위반건수 중 21%가, 동반성장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삼성전자의 하도급법 위반입니다.

대기업들이 눈에 띄는 선언보다, 실질적인 법 준수에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윱니다.

정부는 앞으로 동반성장 실현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중소기업 공공계약 제도 개선을, 장기적으로는 동반성장의 범위를 제조업에서 금융.의료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KTV 이연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