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외교/안보
-
남아공 G20 참석차 17일 출국···UAE·이집트 순방
김경호 앵커>이재명 대통령이 남아공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오는 17일 출국합니다.이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서 아랍에미리트와 이집트, 튀르키예 등을 차례로 방문합니다.이혜진 기자입니다.이혜진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17일부터 7박 10일간 남아공 G20 정상회의 참석과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튀르키예 순방길에 오릅니다.17일부터 ...
-
정부 "일본 '영토주권전시관' 추가 개관 강력 항의"
모지안 앵커>정부는 일본 정부가 독도에 대한 부당한 주장을 위해 도쿄 내 영토주권전시관의 확장 공간을 추가 개관한 데 대해 강력히 항의하며 폐쇄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외교부는 대변인 성명에서 2018년 해당 전시관 개관 이래 우리 정부가 폐쇄를 지속 촉구해 왔음에도 일본 정부가 전시관의 확장 공간을 추가 개관한 데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
-
이 대통령 '팩트시트' 발표···"통상·안보협의 최종 타결"
신경은 앵커>'한미 관세 협상'과 '안보 협의' 결과를 담은 문서, '조인트 팩트 시트'가 발표됐습니다.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브리핑을 열고, 결과를 전했습니다.최영은 기자입니다.최영은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예정에 없던 브리핑을 열고, 한미 관세 협상과 안보 협의의 최종 타결을 알렸습니다.양국 협상 결과를 자세히 설명한 문서, '조인트 팩트시트'가 발표된 겁...
-
남아공 G20 참석차 17일 출국···UAE·이집트 순방
신경은 앵커>이재명 대통령이 '남아공 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오는 17일 출국합니다.아랍에미리트, 이집트, 튀르키예도 차례로 방문합니다.이혜진 기자입니다.이혜진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17일부터 7박 10일간 남아공 G20 정상회의 참석과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튀르키예 순방길에 오릅니다.17일부터 19일까지 아랍에미리트 국빈 방문을...
-
로이터 / 11.14, 한미 협상 '팩트시트' 최종 확정 [외신에 비친 한국]
박유진 외신캐스터>외신에 비친 한국, 첫 번째 소식입니다.1. 로이터 / 11.14, 한미 협상 '팩트시트' 최종 확정미국과 한국이 오랜 조율 끝에 무역·안보 협력의 핵심 내용을 담은 공동 팩트시트를 최종 확정했습니다.이번 합의는 양국 경제와 안보 동맹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평가되는데요.외신도 주목하고 있습니다.함께 확인해 보시죠.<로이터 통신>은 미국과 합...
-
대통령실 브리핑 - G20 순방 일정 관련
대통령실 브리핑 - G20 순방 일정 관련위성락 / 국가안보실장 (오늘 오후 1시 30분 발표)(장소: 대통령실 브리핑룸)
-
이 대통령 '팩트시트' 발표···"통상·안보협의 최종 타결"
김유영 앵커>한미 간 관세 협상과 안보 협의 결과를 문서화한 공동설명자료 '조인트 팩트시트'가 발표됐습니다.지난달 양국 정상이 경주에서 만나 주요 쟁점에 합의한 지 16일 만인데요.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브리핑을 열고 결과를 전했습니다.최영은 기자입니다.최영은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예정에 없던 브리핑을 열고, 한미 관세 협상과 안보 협의의 최종 타결을 알렸습...
-
팩트시트 관련 대통령 브리핑
팩트시트 관련 대통령 브리핑 이재명 대통령(장소: 대통령실 브리핑룸)
-
"대한민국, 역사의 분기점···6대 구조개혁"
김용민 앵커>팩트시트 관련 브리핑 보고 오셨습니다.이재명 대통령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6대 핵심 분야의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김현지 앵커>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내용 살펴봅니다.차현주 앵커!차현주 앵커>네, 서울 스튜디오입니다.관련 내용 조현정 시사평론가와 이야기 나눠봅니다.(출연: 조현정 / 시사평론가)차현주 앵커>팩트시트의 발표 시점에...
-
트럼프, 사상 최장 43일 셧다운 종료 서명 [월드 투데이]
박유진 외신캐스터>월드투데이입니다.1. 트럼프, 사상 최장 43일 셧다운 종료 서명43일 동안 이어졌던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마침내 끝났습니다.역사상 최장 기간 셧다운으로 기록됐는데요.트럼프 대통령이 예산 합의안에 서명하면서, 수십만 명의 연방 직원들이 다시 일터로 돌아갈 수 있게 됐습니다.현지시각 12일,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으로 43일 동안 마비됐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