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의대 증원 필요성과 의사 집단행동 관련 영상보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당신이 몰랐던 100가지, 추억의 문화영화 (91회)

한국의 교육열

*대입 시험의 변화
전국의 고3 학생들이 치르는 대학 입학 자격시험은 예비고사, 학력고사 등 여러 차례 변해왔다. 지금의 수능시험은 학생들의 통합적인 사고력을 측정하고자 1994에 처음 도입되었다. 수능 이전 세대의 학력고사 때도 한파는 단골 뉴스였다.

입시 - 대한뉴스 제1620호(1986년)
대학입학 학력고사 - 대한뉴스 제1360호(1981년)

*중학교 입학시험
중학교에 진학할 때도 시험을 치러야 했던 시절, 오늘날 명문대에 가기 위해 학생들이 입시에 시달리는 것처럼 소위 일류 중학교에 진학하기 위한 과외와 사교육이 성행했다. 중학생이 재수까지 불사하던 그때 결국 1969년 입학생부터 중학교 무시험 추첨제가 실시되었다.

가슴 졸이는 입학 시험 - 대한뉴스 제204호(1959년)
새로운 방법의 입학시험 - 대한뉴스 제252호(1960년)
각급 학교 입시 - 대한뉴스 제106호(1957년)

*멈추지 않는 배움
포탄이 날아드는 전쟁의 한가운데 당장의 끼니 해결조차 어려웠던 시절. 공터에 칠판 하나를 놓고 학생들이 모이면 그곳이 곧 학교가 되었고 무너진 학교를 다시 세우기 위해 학생들이 직접 나서기도 했다.

대한뉴스의 발자취(1집) - 문화영화(1991년)
학원재건에 학도들도 한 몫 - 대한뉴스 제79호(1956년)

*교육 환경의 개선
한국의 경제성장을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이 교육열이다. 교육을 통해 자식만큼은 가난을 벗어나야 한다는 바람 또 국민의 교육 수준을 높이려는 정부의 의지도 교육열에 기여하였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명제는 변함이 없었고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확장되는 교육시설 - 대한뉴스 제399호(1963년)
국정 교과서 공장 - 대한뉴스 제90호(1956년)

*외국어 교육
외국어 능력이 필수처럼 여겨지는 요즘, 외국어 교육의 시기가 점점 낮은 연령대로 내려가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해외여행이나 외국과의 교류가 많지 않던 시절에도 외국어를 배우기 위한 열기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았다.

영어공부에 힘쓰는 학도들 - 대한뉴스 제107호(1957년)
외국어 연구소 개관 - 리버티뉴스 620호(1965년)

*실업학교 장려
경제 성장기에는 산업 현장에 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교가 곳곳에 문을 열었다.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려 학업을 포기한 여공들은 낮엔 일하고 밤엔 공부하며 배움의 의지를 꺾지 않았다.

중앙직업학교 설립 기공 - 대한뉴스 제337호(1961년)
인덕 실업고등학교 - 대한뉴스 제486호(1964년)

한국의 교육열은 경제적 성취의 핵심 동력이었지만 지금은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지금 한국의 교육은 입시와 경쟁을 위함이 아닌 행복한 미래를 준비하는 근간으로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