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윤석열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수학교육의 해법은 "즐거운 수학"

세계수학자대회가 우리나라에서 열리면서 수학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한층 고조되고 있는데요.

수학을 즐겁게 배우고 또 가르치는 사람들을 만나봤습니다.

장하라 국민기자입니다.

[기사내용]

현장음>

엄마 : 지금 유찬이가 만들려는게 뭐야?

오유찬 : 정이십면체인데, 일단 삼각형 다섯개로 평면이 나오진 않잖아.이렇게 남는 삼각형의 두 변을 붙여서…

이제 초등학교 3학년인 유찬이가 직접 손으로 만져가며 정이십면체의 설계를 정확히 설명합니다.

현장음>

혼잣말로 설명하면서 화이트 보드에 적음 (하이퍼 큐브, 1차원, 2차원…)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는 화이트 보드로 달려가 적어봅니다.

유찬이는 지난 달 kmc 수학경시대회에서 대상을 차지하고 벌써 시저 암호나 비즈네르 암호 같은 암호학까지 공부하고 있는 수학 영재입니다.

수학계의 노벨상, 필즈상 수상이 목표인 이 꼬마수학자가 수학을 잘하게 된 데에 다른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인터뷰> 이주연 (오유찬군 어머니)

작은 호기심부터 출발해서 일상생활과 수학을 접목시키면서 공부하고 있고요. 책들과 교구를 늘 장난감처럼 가지고 놀면서 수적인 감각이나 도형에 대한 감각을 기르면서 놀이처럼 수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유찬이에게 수학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필요한 학문이자 생활입니다.

수학에 대한 인식이 딱딱하고 재미없는 학문에서 생활 속에 꼭 필요하고 즐거운 것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교육부가 2012년 발표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법 등으로 교육 현장의 분위기가 한결 부드럽게 바뀐 것도 큰 몫을 했습니다.

그만큼 일선 교사들의 역할도 중요해졌습니다.

국내외 유명 수학자들과 교사들이 머리를 맞대고 수학 교육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한 제2회 수학교사 한마당에서도 화두는 재미있는 수학입니다.

인터뷰> 안정덕(수학교사, 인천 동산중)

자연스러운 체험수학을 강의하고 있고요. 학생들과 같이 협동해서 만들어내는 수업을 연구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 어디에서나 사용되는 소중한 학문 수학.

인터뷰> 오유찬 (영도초 3학년)

기자 : (수학이) 너무 지겨워서 하기 싫거나 한적은 없어?

유찬 : 없죠! 당연히 없죠! (수학이) 온 우주에 가장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재미없고 어려운 학문이라는 여겨져 온 수학, 스토리텔링 등을 통한 새로운 학습법을 통해 수학도 재미있을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장하라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