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고객 갑질' 여전···감정노동 피해자 보호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고객 갑질' 여전···감정노동 피해자 보호

등록일 : 2018.11.15

장현정 앵커>
고객의 갑질에 고통받는 근로자의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닌데요.
이런 피해를 본 근로자는 우울증 증세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됐는데요.
이른바 '감정노동자 보호법'이 어떤 것이고 또 어떤 치료를 받을 수 있는지 김규성 의학전문 국민기자가 알려드립니다.

김규성 국민기자>
한 민원인이 콜센터 상담원에게 심한 언어폭력을 하고 있습니다.
상담원이 제지해보지만 민원인의 욕설은 계속됩니다.

녹취> 국민콜110 악성 민원 통화 내용
- 선생님. 언어폭력이 지속될 경우 상담 진행이..
-**하고 자빠졌네. 이 ***이, 내가 다 까발릴 거야.

콜센터 상담원을 비롯해 서비스 업종 근로자의 상당수가 이런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가 서비스산업 종사자의 삶의 질을 조사한 결과 감정노동자의 42%가 고객으로부터 폭언을 경험했고 2%는 폭행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감정노동자들은 일반 근로자에 비해 우울 증상을 호소할 가능성이 5배가량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일반 노동자보다 수면 장애를 겪을 위험도 훨씬 높았습니다.
업무 특성상 고객을 대할 때 자신의 실제 감정을 드러내지 않거나 참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최영철 / 서울근로자건강센터 부센터장
“감정노동은 우리의 건강 관련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데 가령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지나치게 술을 많이 마신다든가 아니면 폭식을 한다든가..”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되면서 감정노동자들이 보호받을 장치가 마련됐습니다.
고객 응대 근로자는 건강에 이상이 생겼을 때 사업주에게 업무 중단이나 전환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런 요구를 한 근로자에 대해 해고나 불리한 처우를 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도 담고 있습니다.
감정노동 종사자들이 심리상담부터 건강 맞춤 프로그램까지 종합지원을 받을 수 있는 예방 서비스 기관도 문을 열었습니다.
감정노동자를 포함한 모든 근로자는 건강 문제가 있을 때 각 지역 근로자건강센터에서 무료로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안전보건공단이 각 전문기관에 위탁 운영하는 근로자건강센터에서는 감정노동과 관련된 직무 스트레스 상담은 물론 운동프로그램과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도 익힐 수 있습니다.

현장음>
“밴드를 이렇게 아까처럼 두 줄로 잡아주세요. 그다음에 무릎은 양쪽 다 굽혀주세요.”

정규직, 비정규직 모든 근로자가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의 폭언, 폭력 등으로 근로자가 적응 장애나 우울증을 앓게 되면 산재 인정도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감정노동자 보호법이 예방보다 사후 조치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한계가 있습니다.

인터뷰> 최영철 / 서울근로자건강센터 부센터장
“사업장에서의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단은 사업장에서 감정노동자들이 얼마나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이 기본이 된다고 볼 수 있고요. 평가에 의해서 스트레스 수준이 올라갔다고 판단됐을 때는 그 노동자를 작업에서 쉬게 한다든가..”

전화 상담원과 항공기 승무원, 백화점 판매원 은행 창구 직원 등 감정노동자가 8백만 명이나 됩니다.
이들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와 건강 장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업안전보건법 정착과 함께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직장문화와 근로환경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영상촬영: 김제건 국민기자)

국민리포트 김규성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