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배너 닫기
윤석열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KTV 부분개편 참여 / 이벤트 기대해줘! KTV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아세안 국가와의 양자 FTA 적극 확대"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아세안 국가와의 양자 FTA 적극 확대"

등록일 : 2019.11.26

임소형 앵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통해 아세안 국가들과의 교역은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정부는 아세안 개별 국가들과의 FTA를 적극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박성욱 기자입니다.

박성욱 기자>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아세안 국가들과의 양자 FTA가 적극 추진됩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우리 기업의 진출이 급증할 가능성이 큰 국가를 목표시장으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녹취> 성윤모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아세안에서 향후 우리 기업 진출이 급증할 가능성이 큰 국가를 목표시장으로 삼아 FTA를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성 장관은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은 이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최종 타결을 선언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필리핀 FTA는 지난 6월 협상 개시 이후 양측이 긴밀히 협의해 협상을 진전시켜 왔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캄보디아와 FTA 추진에 대한 공동연구 개시를 선언하고 1년간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해 협상 추진 전략을 수립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아세안 국가별 기술발전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기술협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한-아세안 산업혁신기구도 설립됩니다.

녹취> 성윤모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아세안은 경제발전 및 기술발전단계가 상이한 10개국으로 구성돼 있어, 다양한 협력수요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성 장관은 온·오프라인 협력 플랫폼 구축, 전문가 그룹 운영 등을 통해 기술협력수요에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표준분야 협력 확대를 위해 한-아세안 공동연구센터 설립도 추진됩니다.
성 장관은 4차 산업분야 표준을 한국과 아세안이 함께 마련하면 한-아세안 간 무역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미래시장도 함께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김태우 / 영상편집: 김종석)

KTV 박성욱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