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배너 닫기
윤석열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KTV 부분개편 참여 / 이벤트 기대해줘! KTV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자립준비청년 지원 강화···"취약계층 중심 복지" [정책현장+]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자립준비청년 지원 강화···"취약계층 중심 복지" [정책현장+]

등록일 : 2022.09.19

김용민 앵커>
해마다 아동복지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 자란 청년 2천500여 명이 사회에 발을 내딛습니다.
정부는 이들 자립준비청년이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두텁게 지원하고 있는데요.
복지 정책은 이들을 포함한 취약계층 보호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현장에 이혜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이혜진 기자>
(장소: 대전자립지원전담기관)

대전의 한 자립지원전담기관.
아동양육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 생활하다 법적 보호가 종료된 청년들의 홀로서기를 지원하는 곳입니다.

이혜진 기자 yihj0722@korea.kr
"집중 지원이 필요한 청년은 자립지원통합서비스 대상자로 선정되는데요. 이곳 자립지원전담기관 직원이 각각의 상황을 고려해 주거와 진학, 취업 관련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해줍니다."

인터뷰> 윤 진 / 대전자립지원전담기관 부장
"(자립준비청년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이 친구가 필요한 게 있는지, 예전에 급작스레 퇴소하다 보면 LH 주거 혜택이 있는데 그걸 모르고 일반으로 월세 지내는 친구들도 있어요. 그런 친구들 확인해서 LH 연계할 수 있는 정보를 주기도 하고."

대전지역 자립준비청년 550여 명이 이들 전담직원의 관리를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 양승연 / 대전자립지원전담기관 회장
"우리 자립준비청년들에게 의지할 수 있는 어른이 되어주고 싶거든요. 혼자가 아니라는 것, 언제든 찾아올 곳이 있다는 것, 상의할 곳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주시면 좋겠습니다."

현장에서는 자립준비청년 일대일 관리가 한창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장음>
"선생님이 지난번에 얘기한 것 있잖아. 창업하는 것, 그거 한 번 진지하게 고민해봐. 조금 있으면 프로그램 시작할 것 같거든."

정부는 자립준비청년 지원을 계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시·도 자립지원전담기관은 전국 12곳에 설치돼있는데, 올해 말까지 5곳을 더 열어 모두 17곳으로 늘립니다.
자립수당은 지난달부터 월 35만 원으로 올랐고, 내년에는 월 40만 원으로 인상해 지급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사회 취약계층을 집중 보호하는 방향으로 복지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원 대상은 자립준비청년을 포함해 장애인과 저소득층 노인, 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아동 등입니다.

녹취> 안상훈 /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
"생애주기적 위험에 대해 약자를 우선적으로 지원해서 공정한 기회를 부여했는가가 복지 구현을 위한 우리사회 연대의 중요한 척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취약계층 복지 확대를 위해 내년 복지예산으로 올해보다 13.2% 늘어난 74조 4천억 원이 편성됐습니다.
현금복지는 일할 수 없거나 소득이 불충분한 취약계층 위주로 지원됩니다.
이와 함께 위원회를 구성해 중앙과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정책 통폐합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이수경 / 영상편집: 진현기)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056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