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윤석열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시험 발사 성공···민간위성 탑재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시험 발사 성공···민간위성 탑재

등록일 : 2023.12.04 20:09

최대환 앵커>
우리 군이 제주 해상에서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3차 시험발사에 성공했습니다.
1~2차 때 모형을 태웠던 것과 달리 이번엔 실제 위성이 탑재됐는데요.

모지안 앵커>
국방부는 소형 위성을 지구궤도에 투입하는 독자적 능력 확보에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습니다.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현아 기자>
(장소: 4일, 제주도 남쪽 해상)

굉음과 함께 화염을 내뿜으며 발사체가 하늘로 솟아 오릅니다.
제주 남방 해상에서 진행된 고체추진우주발사체의 3차 시험발사 모습입니다.
지난해 3월과 12월 1,2차 시험발사 성공에 이어 세 번째 시험발사에도 성공한 겁니다.
국방부는 지난 두 번의 시험발사 때는 더미 위성을 탑재했지만 이번에는 실제 위성을 탑재했다고 밝혔습니다.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약 100kg 무게의 지구관측용 소형 SAR위성을 탑재해 약 650k의 우주궤도에 올렸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민간에서 위성을 만든 것이 있어서 윈윈(win-win) 차원에서 탑재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발사체는 총 4단으로 구성됐습니다.
1~3단에는 고체연료를 사용하고 상단부에 해당하는 4단은 액체연료를 씁니다.
1,2차 발사 때는 2, 3, 4단 추진체를 시험했고 이번에는 1, 3, 4단 추진체를 시험했습니다.
2025년 최종 시험발사 때는 1~4단 추진체를 모두 갖추고 실제 위성을 쏘아 올리는 시험을 하게 됩니다.
고체 발사체의 경우 구조가 단순하고 저장과 취급이 용이하며, 액체보다 비용이 저렴합니다.
또 7일 이내로 신속 발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탑재 중량이 가벼운 저궤도용 관측·정찰위성 발사에 적합하다고 국방부는 설명했습니다.
국방부는 이번 시험발사 성공으로 소형 위성을 지구궤도에 투입하는 독자적 능력 확보에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한국형 3축체계의 핵심인 우주기반 감시정찰능력 확보를 가속화 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군 당국은 고체 연료 우주발사체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민간에 해당 기술을 이전할 방침입니다.
(영상제공: 국방부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김현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