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배너 닫기
윤석열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KTV 부분개편 참여 / 이벤트 기대해줘! KTV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지난해 신혼부부 수 '역대 최저'···절반 가까이 '무자녀'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지난해 신혼부부 수 '역대 최저'···절반 가까이 '무자녀'

등록일 : 2023.12.12 11:43

강민지 앵커>
결혼과 출산, 우리 사회에서 점점 보기 힘들어지는 모습들입니다.
지난해 신혼부부 수가 103만여 쌍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또 초혼 신혼부부 10쌍 중 4쌍은 자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현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현지 기자>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이 된 시대.

녹취> 김나영 / 대학생
"진짜 하고 싶은 사람이 생기지 않으면 (결혼을) 꼭 안 해도 된다고 생각을 하고 있어요."

이를 증명하듯 최근 5년 안에 혼인신고를 하고 이를 유지하고 있는 신혼부부 수는 103만2천 쌍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혼인 1년차 신혼부부는 지난해보다 3.2% 감소했습니다.
자녀 수도 덩달아 줄었습니다.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는 46.4%로 지난해보다 0.6%p 상승했습니다.
평균 자녀 수도 0.65명으로 역대 가장 낮았습니다.

녹취> 임형용 / 대전 서구
"아이 키우는 데 들어가는 비용도 만만찮고 아이한테 신경도 많이 써야 하니까 항상 아이한테 잡혀 있다고 해야 하나? 그래서 아무래도 자유롭지 못해서 (아이를 안 낳는 것) 같아요."

초혼 신혼부부 중 맞벌이 부부 비중은 57.2%로 지난해보다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초혼 신혼부부 연간 평균소득도 6천790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6.1% 늘었습니다.
맞벌이 문화로 소득 수준은 높아졌지만, 대출은 늘고 주택보유 비중은 줄었습니다.
대출잔액이 있는 부부 비중은 89%에 달했습니다.
금융권에서 대출받은 부부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1억6천만 원대로 지난해보다 7.3% 늘었습니다.
(영상취재: 오민호, 강걸원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녹취> 이명석, 박선나 / 대전 유성구
"아무래도 혼자서 버는 것보다 맞벌이를 해야지 대출이자를 갚을 수 있게 되고요. (그래서) 자녀 케어 부분에서는 부모님한테 기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많이 오거든요. 그래서 실제로 부모님 집 근처로 집을 구해서 자녀 양육 같은 거는 부모님의 도움을 많이 받는 사람도 있고요."

주택을 가진 신혼부부 비중은 40.5%로 줄었습니다.
맞벌이 부부 중 자녀가 있는 부부 비중은 49.8%로 외벌이 부부보다 9.6%p 낮았습니다.
평균 자녀 수도 맞벌이 부부는 0.59명으로 외벌이 부부보다 0.14명 적었습니다.

KTV 김현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