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의대 증원 필요성과 의사 집단행동 관련 영상보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정부 "최후통첩 끝"···태영건설, 워크아웃 분수령 [뉴스의 맥]

KTV 대한뉴스 7 화~금 07시 00분

정부 "최후통첩 끝"···태영건설, 워크아웃 분수령 [뉴스의 맥]

등록일 : 2024.01.09 08:58

최대환 앵커>
태영건설 워크아웃 개시 여부를 최종결정하는 채권자 협의회가 오는 11일 예정돼 있는데요.
최상목 경제부총리를 비롯한 정부 관계자들이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이후 최근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신국진 기자,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워크아웃이 무엇인지 이야기해주시죠.

신국진 기자>
네, 2024년 시작과 함께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요.
워크아웃은 기업구조개선 작업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 경영난에 빠졌을 때 외부 기관이 개입해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절차인데요.
워크아웃 구조조정의 주체는 채권단이고, 워크아웃으로 기업 부실이 해결되지 않을 때 법정관리로 넘어가게 됩니다.

최대환 앵커>
경영이 어려워진 기업이 채권단을 통해 돌파구를 찾아가는 방법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은데요.
워크아웃이 개시되기 위해서는 태영건설이 채권단을 설득할 수 있는 자구안이 필요하죠.

신국진 기자>
네, 태영건설 역시 워크아웃을 신청하며 채권단을 설득하기 위한 자구안을 발표했습니다.
총 4가지인데요.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1천 549억 원을 태영건설에 납입하고, 에코비트 매각과 매각대금을 테영건설을 지원하는 겁니다.
또, 블루원 지분담보 제공과 매각 추진, 평택싸이로 담보를 제공하는 건데요.
채권단은 이 자구안에 대해 알맹이가 없다며 뼈를 깎는 자구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상태입니다.
금융당국 역시 지난 주말까지 진정성 있는 추가 자구안을 마련하라고 데드라인을 못 박았고, 대통령실과 한덕수 국무총리도 직접 자구 노력이 전제돼야 한다고 압박했습니다.
그 결과 8일 오전 태영그룹은 자구계획으로 밝혔던 일부를 이행했습니다.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890억 원을 태영건설에 납입하며, 채권단과 협상할 여지가 생겼습니다.
매각대금 일부를 지주사 채무 해소에 처리한 것에 대해 채권단이 강하게 반발하고, 정부도 나서 압박하자 태영 측이 백기를 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대환 앵커>
정부에서도 태영건설 사태를 꾸준하게 모니터하며 대응하고 있는데요.
8일 오전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 경제·금융 수장이 모여 이야기를 나눴다면서요.

신국진 기자>
네, 정부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이후 최근 진행 상황에 대한 논의가 있었는데요.
회의 참석자들은 "태영 측이 제시한 네 가지 자구 노력을 조속히 이행할 뿐만 아니라 충분하고 구체적인 추가 자구안 제시 등을 통해 채권단의 신뢰를 얻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채권단에게는 "태영 측의 실효성 있는 자구노력 의지가 확인되면 태영건설 워크아웃 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최대환 앵커>
태영건설 자구책과 채권단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워크아웃 무산을 우려하기도 했는데요.
앞서 설명한 것처럼 태영 측이 자구안 가운데 하나인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중 일부를 태영건설에 납입했습니다.
이에 대한 평가는 어떤가요?

신국진 기자>
네, 아마도 금융당국, 채권단, 대통령실 등이 강력한 추가 자구안을 요청하며 압박한 결과가 아닐까 싶은데요.
대부분 이번 납입을 통해 오는 11일 열리는 채권단 협의회에서 태영건설에 대한 워크아웃 개시가 결정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견입니다.
다만, 태영 측의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아직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대환 앵커>
워크아웃 개시 여부를 최종 결정하는 채권자 협의회는 오는 11일입니다.
채권단이 만족할 수 있는 추가안도 마련돼 경영 정상화가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보겠습니다.
신기자 수고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