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비상진료에 따른 병·의원 이용안내 페이지로 바로가기 의대 증원 필요성과 의사 집단행동 관련 영상보기
본문
사교육비가 가계에 부담이 된다는 사실 3일 4일 일이 아닙니다.

문제는 사교육비가 사교육 양극화를 불러일으켜서 사회통합의 위협요소로까지 자리잡을 우려가 있다는 겁니다.

사교육의 현상과 원인을 짚어보고, 그 해결방안을 찾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4일은 그 첫 번째 순서로 사교육 실태에 대해 집중 취재 했습니다.

강명연 기자>

저녁 6시, 대한민국 사교육 1번지인 서울 대치동 학원가는 학생들로 북적거립니다.

아이들이 삼삼오오 짝을 지어 학원으로 향합니다.

학생들의 일주일 시간표는 학원으로 꽉 채워져 있습니다.

이런 실정이다 보니 방과후에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은 물론 학교 공부도 뒷전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학원비도 만만치 않게 들어갑니다.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3학년, 그리고 대학생인 자녀를 둔 학부모는 사교육비가 월수입을 넘어선다고 말합니다.

학원들의 편법 학원비 책정도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입니다.

대부분의 학원들은 당국의 규제와 단속을 피하기 위해 한강좌 수강료를 둘로 나누어 받거나 교재비 명목으로 따로 돈을 받기도 합니다.

추가로 내는 돈이 규정 학원비에 육박하기도 합니다.

최근 현대경제연구소가 자녀를 둔 전국의 천 12가구를 상대로 사교육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64만 6천원, 자녀 1인당 사교육비는 38만 천700원이었습니다.

또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이 지난해 신입생 과외실태를 조사한 결과, 신입생의 72.8%가 학원이나 개인 또는 그룹 과외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교육은 더 이상 남들보다 앞서가기 위함이 아닙니다.

단지 남보다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문제는 사교육비가 계속 늘어나면서 국가 경쟁력의 주요 부분인 교육부분에서 국가적 낭비는 물론 사회 계층간 사교육비의 양극화를 불러와 사회통합까지 저해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우선 사교육에 대한 정확한 모니터링을 통해 정부가 사교육의 수요와 변화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사교육 수요를 공교육으로 흡수하기 위해서는 공교육에 대한 투자를 대폭 늘리고 여건을 개선해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