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재생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 위한 앞으로의 과제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재생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 위한 앞으로의 과제는?

등록일 : 2019.04.09

임보라 앵커>
정부가 친환경에너지를 넘어 새로운 성장동력과 수출산업화 육성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재생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관련 자세한 내용, 스튜디오에 나와 계신 김성훈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정책실장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김성훈 /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정책실장)

임보라 앵커>
산업통상자원부가 재생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강화방안을 발표하게 된 배경. 어떻게 되나요?

임보라 앵커>
재생에너지 산업 집중투자와 3020 보급 정책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이번 대책을 세운거군요. 그렇다면, 지난 17년에 발표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요?

임보라 앵커>
그렇다면 재생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의 주요 내용에 대해 짚어주시죠.

임보라 앵커>
앞서 말씀해주신 주요 내용들에 대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품 효율?품질 기반으로 시장 경쟁구도를 전환하기 위해 개편하는 탄소인증제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더불어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최저효율기준을 신설하고 고효율제품 우대 방안을 마련한다고 하는데, 최저효율기준이란 무엇이며 고효율제품 우대 방안의 내용은 어떻게 되나요?

임보라 앵커>
융·복합 제품과 시장 육성을 위해 추진하는 제도와 보완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임보라 앵커>
또한, 시장과 기술, 기업체질 등 산업생태계 경쟁력을 보강하기 위해 여러 제도를 마련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먼저 내수시장의 안정적인 확대를 위해 실시하는 제도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또한 태양광과 풍력 산업 활성화를 위해 금융과 장비 등의 기술 개발에도 전폭적인 지원을 할 예정이라고요.

임보라 앵커>
지역기반의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 산업기반이 있거나 대규모 사업이 예정된 5개 권역에 연구, 기반시설 등 인프라를 보강한다고 하는데, 각 5개 권역이 갖춘 제조 기반은 어떻게 되며 어떤 지원을 하는 건가요?

임보라 앵커>
재생에너지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해외진출 또한 매우 중요할텐데요.
해외진출 촉진을 위해 마련한 방안으로는 어떤 게 있을까요?

임보라 앵커>
또한, 재생에너지 업체들에 수출 금리 우대, 해외 수주 시보험료율 인하 등 혜택을 준다고요.

임보라 앵커>
이번 재생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와 기대효과는 어떻게 보십니까?

임보라 앵커>
마지막으로, 재생에너지산업 활성화를 위한 앞으로의 계획, 과제는 무엇인지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김성훈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정책실장과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