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0년대 | 1942. |
일제강점기 특수법인 조선영화사 |
---|---|---|
1945. ~ 1947. |
<조선시보> 제작 |
|
1948. 11. 04. |
공보처 공보국 영화과 발족 <대한전진보>로 개명 월 1회 흑백뉴스와 문화영화 제작 |
|
1949. 01. |
영화과 산하 '대한영화사' 정부 홍보영화 제작 |
|
1950년대 | 1950. |
문화영화 '명령만 내리시면'(흑백 40분) 1편 제작 |
1953. 01. |
임시수도 부산에서 <대한전진보>를 <대한뉴-스>로 개명하고 제1호를 16㎜로 월 2~3회 제작, 이동영사반 통해 지방순회 영사함. |
|
1954. 11. 25. |
<대한뉴-스>가 제48호부터 <대한늬우스>로 개명 |
|
1956. 02. 09. |
공보실 선전국 영화과로 개편 |
|
1957. |
대한늬우스 주1편 정기제작(35㎜ 30벌, 16㎜ 45벌 복사) |
|
1957. 01. 17. |
<대한늬우스> 100호 |
|
1958. 12. |
흑백 자동 현상장비 설치, 극장용 문화영화 매월 제작 및 배포 |
|
1960년대 | 1960. 05. 19. |
국무원 사무처 공보국 영화과로 개편 |
1961. 06 |
<대한늬우스> 제265편부터 <대한뉴우스>로 개명(35㎜ 35벌, 16㎜ 50벌 복사) |
|
1961. 06. 22. |
공보부 국립영화제작소 신설(중앙청 청사) |
|
1962. |
재일동포용 뉴스 <한국소식> 월 1편 제작 및 배포 1962. 02. ~ 1969. 11. 30. <한국소식> 1970. 01. 23. ~ 1973. 12. 30. <고국소식> |
|
1963. 11. |
천연색 현상장비 도입 |
|
1964. 12. 26. |
<대한뉴우스> 500호 |
|
1967. |
해외동포용 5개국어 문화영화 시작 장편극영화 <팔도강산> 제작 대한뉴우스 배포량 증벌(35㎜ 80벌, 16㎜ 20벌) |
|
1968. 07. 24. |
문화공보부 이관(국립영화제작소) |
|
1970년대 | 1970. |
국내홍보활동 확산을 위해 8㎜ 영화제작 |
1970. 09. |
영화제작 인화방식 전환(수동식 → 고속자동방식) |
|
1970. 04. 18. |
<대한뉴우스> 772호 호남고속도로 기공식 |
|
1970. 07. 11. |
<대한뉴우스> 784호 경부고속도로 준공식 |
|
1971. 03. 01. ~ 1989. 01. 23. |
전국 극장에 애국가 상영(년 1회~4회 제작) |
|
1972. 08. |
천연색 제작 35㎜ 110벌 복사 배포(전국 극장 상영) |
|
1974. |
전국 시·군·읍·면에 매편당 300벌 복사 배포 |
|
1978. 12. 01. |
<대한뉴우스>가 제1214호부터 <대한뉴스>로 개명 |
|
1980년대 | 1980. 03. 15. ~ 05. 30. |
<대한뉴스>를 <카메라순보>로 개명 (35㎜ 120벌, 16㎜ 32벌 복사) |
1980. 05. 30. |
<카메라순보>에서 다시 <대한뉴스>로 환원, 주1편 제작 (35㎜ 120벌 전국 극장, 16㎜ 32벌 해외공간, VTR 7벌 해외공간) |
|
1981. 07. |
VTR System 설치 |
|
1984. 12. 27. ~ 1993. 08. 29. |
대한뉴스 배포량 수시 조정 (최종 : 35㎜ 283벌 278개 극장, VTR 166벌 해외 및 비디오 전용 소극장) |
|
1986. 03. |
청사이전(중앙청 청사 → 영화진흥공사 건물) |
|
1990년대 | 1990. 01. |
공보처 이관(국립영화제작소), 문화공보부 → 문화부, 공보처로 분리(‘89. 12. 30.) |
1991. 09. |
청사이전(영화진흥공사 건물 → 강남구 역삼동 청사) |
|
1991. 12. 23. |
정부간행물제작소 신설(종로구 부암동) |
|
1993. 05. 29. |
공보처, 공공채널 제작기관으로 국립영화제작소 지정 |
|
1994. 05. |
명칭변경(국립영화제작소 → 국립영상제작소) |
|
1994. 12. |
<대한뉴스> 극장상영 종료(제 2040호) |
|
1995. 03. 01. |
국립영상제작소 「한국영상 K-TV」 개국(CH 14), 케이블TV 방송 실시 |
|
1998. 02. 28. |
문화관광부 이관 |
|
1999. 05. 24. |
국정홍보처 이관(국립영상간행물제작소 신설) 국립영상제작소와 정부간행물제작소 통합채널명 변경(한국영상 K-TV → 국립방송 KTV) |
|
2000년대 | 2000. 01. 01. |
국립영상간행물제작소 책임운영기관지정 |
2002. 03. 01. |
위성방송(CH151), 인터넷방송(www.ktv.go.kr) 실시 |
|
2004. 08. 14. |
명칭변경(국립영상간행물제작소 → 영상홍보원) 간행물 제작 기능 본부(국정홍보처) 이관 |
|
2005. 02. |
채널명 변경(국립방송 KTV → 한국정책방송 KTV) |
|
2005. 12. |
위성방송 채널변경(151번 → 520번) |
|
2006. 01. |
기업형에서 행정형 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 |
|
2007. 08. 30. |
명칭변경(영상홍보원 → 한국정책방송원) |
|
2008. 02. 29. |
문화체육관광부 이관(국정홍보처 통합) |
|
2009. 03. 14. |
IPTV 실시간 서비스 개시(LG데이콤, 105번) |
|
2009. 04. 01. |
IPTV 실시간 서비스 개시(SK브로드밴드, 502번) |
|
2009. 05. 06. |
IPTV 실시간 서비스 개시(KT, 405번) |
|
2009. 06. 01. |
24시간 종일방송 실시 |
|
2010년대 | 2010. 12. 01. |
IPTV ‘쿡TV’ HD 송출 개시(KT) |
2011. 04. 01. |
SkyLife HD 송출 개시(HD 161번/SD 520번) |
|
2011. 06. 07. |
행정형에서 문화형 책임기관으로 전환 |
|
2011. 09. 19. |
IPTV ‘B tv’ HD 송출 개시(SK브로드밴드, 502번 → 553번) |
|
2012. 01. 25. |
유튜브 ‘KTV 국민방송’ 채널 개설 |
|
2012. 10. |
디지털 방송제작 시스템 도입 |
|
2013. 07. |
조직개편(기획관 폐지, 6과 → 7부로 개편) |
|
2014. 01. 01. |
채널명칭 변경(한국정책방송KTV → KTV국민방송)시행 |
|
2014. 12. 15. |
청사이전(서울 역삼동 청사 → 세종청사) |
|
2016. 07. 07. |
KTV 채널로고 정부상징 적용 변경 |
|
2017. 08. 07. |
정책콘텐츠부 → 온라인콘텐츠부로 변경 |
|
2017. 10. 19. |
제7회 대한민국 SNS대상 ‘공공기업 부문 최우수상’ 수상 |
|
2018. 10. 11. |
제8회 대한민국 SNS대상 ‘공공기업 부문 최우수상’ 수상 |
|
2018. 11. 05. |
운영관리부 → 운영지원부로 변경 |
|
2019. 03. 29. |
유튜브 ‘KTV 국민방송’, ‘KTV 스콘’ 채널 실버 플레이 버튼 수상 |
|
2019. 10. 16. |
제9회 대한민국 SNS대상 ‘공공기업(공기업) 부문 대상’ 수상 |
|
2019. 11. 13. |
제12회 대한민국 인터넷소통대상 ‘중앙행정기관 부문 대상’ 제12회 대한민국 공감콘텐츠대상 ‘중앙행정기관 부문 대상’ 수상 |
|
2019. 11. 19. |
제5회 올해의 SNS ‘공기업 및 비영리(유튜브) 부문 대상’ 수상 |
|
2020년대 | 2020. 09. 02. |
소셜아이어워드 ‘미디어 유튜브 부문 대상’ 수상 |
2020. 10. 15. |
제10회 대한민국 SNS대상 ‘공공 부문 대상’ 수상 |
|
2020. 11. 11. |
제13회 대한민국 인터넷소통대상 ‘중앙행정기관 부문 대상’ 제13회 대한민국 공감콘텐츠대상 ‘영상콘텐츠 부문 대상’ 수상 |
|
2020. 11. 12. |
제6회 올해의 SNS ‘유튜브 부문 최우수상’ 수상 |
|
2020. 12. 20. |
유튜브 ‘KTV 최고수다’ 채널 실버 플레이 버튼 수상 |
|
2021. 09. 10. |
유튜브 ‘귀농다큐’ 채널 실버 플레이 버튼 수상 |
|
2021. 10. 07. |
유튜브 ‘KTV 국민방송’ 채널 구독자 50만 명 돌파 |
|
2021. 11. 17. |
제14회 대한민국 소통어워즈 ‘공공 종합대상 종합 대상’ 수상 제14회 대한민국 CEO소통대상 ‘공공 부문 대상’ 수상 제14회 대한민국 공감콘텐츠대상 ‘영상 부문 대상’ 수상 제7회 올해의 SNS ‘유튜브 공기업 부문 대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