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보도자료

공공누리 공공제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표시-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기술 퓨전화로 경쟁력 높이겠다

글자확대 글자축소
조회 : 1794
등록일 : 2006.02.22 13:25

“기술 퓨전화로 경쟁력 높이겠다"김우식 부총리 겸 과기부장관 KTV 인터뷰 “과학기술의 대중화·생활화”강조


“앞으로 퓨전 테크날로지 변화가 일 것으로 예상된다.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인문 사회 및 예술 문화를 접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본다. 과학기술과 예술 문화의 접목을 통해 또 다른 창조적인 기술을 만들어 갈 수 있다.” “우리 기술이 세계로 나가서 경쟁력을 갖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전통기술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그것을 더 살려내고 응용해서 우리 기술화 한 뒤 (세계로) 내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은 22일 한국정책방송 KTV(원장 정구철)특별기획‘신임장관에게 듣는다’에 출연, 과학기술과 예술문화의 접목, 전통기술과 첨단기술의 결합 등 ‘기술의 퓨전화’를 통해 우리 기술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김 부총리는 “국가 경쟁력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과학기술 경쟁력이다”면서 “과학기술의 대중화·생활화를 통해 과학기술을 하는 층이 두터워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공계 기피 현상과 관련해서는 “이공계를 전공하는 사람이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잘 살아야 한다”며 “대학 등록금도 인문계보다 비싸고, 배우기도 딱딱하고 어렵고, 그렇다고 (이공계를) 나와서 더 많은 대우를 받는 것도 아닌 사회 풍조가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그러나 “30대 기업 CEO의 40% 이상이 이공계 출신”이라는 사례를 제시하면서 “우리 사회가 다행히 그런 쪽으로 많이 바뀌고 있다”는 희망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과학기술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에 대해서는 “검증 시스템을 마련하고, 체계화해서 효율적 배분과 집행이 이루질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황우석 파문과 관련해서는 “정말 안타깝고 마음 아픈 일이지만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면서 “이번 일을 기회로 해서 철저한 연구윤리를 확립하는 한편 교차 검증 등 진실성 확보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김 부총리는 “과학계에서 먼저 의견을 수렴해서 나름대로 자발적 체제를 만들면 거기에 맞추어서 법적·제도적 보완을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