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보도자료

공공누리 공공제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표시-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듣는다

글자확대 글자축소
조회 : 1863
등록일 : 2011.03.25 15:01

“일본 드라마 개방 필요”

“연예계 합리적 표준계약 마련”

“KTV, 일방적 홍보 안돼...정책 비판도 담아야”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듣는다>

KTV 『정책대담』 3월 27일(일) 오전 8시 방송

   

KTV 『정책대담』에서는 3월 27일(일) 오전 8시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출연, 일본 드라마 개방 문제, 연예계의 합리적 표준계약 마련 등 문화체육관광부 주요 현안과 문화사업 전반에 관해 대담을 갖는다.


□ 이날 정병국 장관은 일본 드라마 개방과 관련된 질문에 “우리나라 문화가 성숙되어 있고, 경쟁력이 높아져 한류 열풍의 주역이 된 만큼 일본 문화도 받아들일 때가 되었다”면서 일본 드라마 개방에 대해 언급했다.


□ 한편 연예계의 고질적인 문제로 제기되는 계약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해결의지를 밝혔다. 정장관은 대중문화예술산업 현장 토론회(3.25) 등을 통해 업계와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등 여론수렴을 통해 표준 계약이나 연예기획사의 등록제 등 합리적인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국민 소통과 관련해서는 전형적인 홍보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 눈높이에서 정책을 알리고, 비판할 만한 내용은 국민을 대변해 비판하겠다고 밝히며 KTV와 위클리 공감 등 정부 매체도 정부의 정책 비판 기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일반적인 홍보가 아닌 모든 사람들의 목소리를 담는 홍보이어야 국민들의 정책 이해도가 높아진다고 부연했다.


□ 한편 정 장관은 지속적인 한류 열풍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적인 기반 조성도 강조했다. 국내 콘텐츠의 불법 다운로드가 80%가 넘는 만큼, 불법 다운로드를 비롯한 저작권 침해에 대한 집중 단속과 저작권 보호에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예술인 보호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정장관은 200곳의 예술 단체와 각 지역 공연장과의 전속 계약, 전국 순회공연 지원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국회에서 심사 중인 예술인 복지법 등 예술인이 최소한의 보험혜택이라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정병국 장관은 문화정책 수립과 관련, 지속적인 소통으로 정책의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지난 두 달 동안 진행된 문화정책 대국민 업무보고에서 1,000여명의 정책 고객을 만났고, 문화정책의 방향과 개선사안을 찾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정 장관 이때 나온 217건의 건의사항에 대한 세부 추진 상황을 문화부 홈페이지에 올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이번 건의사항이 올해 예산을 통해 해결되기 어렵다면 내년 예산 편성우선적으로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 현재 국민의 염원이 담긴 평창 올림픽 유치에 대해서도 “현재 업무의 3분의 1은 평창 유치에 몰입”하고 있을 정도라며 마지막까지 방심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KTV 정책대담은 송지헌 아나운서의 진행으로 9개 지역민방과 공동기획?제작, 일요일 오전 8시 격주로 방송하고 있으며 이번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듣는다>편은 이번 주 일요일인 3월 27일 오전 8시에 방송된다.  끝.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KTV 방송제작과 박준석CP(☎ 02-3450-2207)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