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보도자료

공공누리 공공제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표시-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KTV『대한늬우스의 그때 그 사람』‘갑오년 말의 해, 질주하는 우리 가락 - 김덕수’

글자확대 글자축소
조회 : 1164
등록일 : 2014.01.09 10:33

KTV 『대한늬우스의 그때 그 사람』

‘갑오년 말의 해, 질주하는 우리 가락 - 김덕수’

1월 10일(금) 오후 4시 방송

 

○…해외공연 50주년 김덕수와 함께 여는 ‘질주하는 갑오년’

○…“싸이 말춤과 사물놀이는 같은 뿌리…기마민족의 신명”

○…“올해 새로운 신명, 세계인들에게 북채를 쥐여 주는 것”


□ KTV(원장 김관상) 『대한늬우스의 그때 그 사람』(연출 김우진)에서는 오는 1월 10일(금) 오후 4시, 올해로 해외공연 50년을 맞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김덕수 교수를 초대해 사물놀이의 과거와 미래를 들어보는 『갑오년 말의 해, 질주하는 우리 가락 - 김덕수』 편을 방송한다.


과거 새해가 되면 '함께 시작하는 한 해'를 위해 서울역 앞에서 사물놀이 판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 만큼 한 해를 여는 시기에 사물놀이는 우리 민초들의 생활 깊숙한 곳에서 흥을 돋우는 역할을 해 왔다. 갑오년 '청마의 해'인 2014년, 한국예술종합학교 김덕수 교수가 『대한늬우스의 그때 그 사람』의 첫 손님으로 출연한다. 사물놀이단을 창단하고 세계화시킨 주역, 김덕수 교수가 사물놀이의 힘찬 장단으로 시청자들과 함께 갑오년 한 해를 열어젖힌다.


김덕수 교수는 일찍부터 가수 싸이의 말춤과 사물놀이의 뿌리는 같다고 말해 왔다. 싸이의 말춤은 마당에서 신명나게 추는 막춤이라는 것. 김 교수는 “말춤을 만들어낸 것은 기마민족의 후예인 우리 신명의 비결이며, 도약하고 감기는 것을 위주로 하는 사물놀이도 그 같은 막춤의 신명과 다를 바 없다”고 설명한다.


□ 1957년 어린 나이에 남사당 무동으로 출연한 이후 연희판에서 줄곧 자란 김덕수 교수. 1964년 첫 해외공연 이후 올해로 해외공연 50주년을 맞은 그의 일생은 “세계가 있기에 내가 존재한다”는 말로 요약될 수 있다. 하지만 그는 아직도 자신을 '신인'이라고 칭하며 올해 또 하나의 새로운 시작을 예고한다. 김 교수는 “올해 시작할 새로운 신명은 바로 세계인에게 우리의 북채를 쥐여 주는 일”이라며 “그걸 위해서 새해에 다시 해외로 나간다”고 말한다.


□ 대한민국 역사의 영상기록인 대한뉴스 속 주인공과 함께 새로운 대한민국의 과거와 미래를 이야기하는 『대한늬우스의 그때 그 사람』은 매주 금요일 오후 4시 시청자들의 안방을 찾아간다. 끝.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KTV 방송제작부 김우진 PD(☎02-3450-2247)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