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보도자료

공공누리 공공제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표시-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정유년 닭에 대한 오해 풀기, 새해 첫 파워특강!

글자확대 글자축소
조회 : 812
등록일 : 2017.01.03 16:01
‘정유년, 닭에 대한 오해 풀기’ KTV 『파워특강』- 1월 5일(목) 낮 5시 20분 방송 -

○…꿩 대신 닭? 상서로운 십이지 동물 닭에 대한 오해들 ○…천진기 관장에게 듣는 우리 삶속 닭의 민속학적 위상 ○…여명과 축귀의 상징, 인간이 본받을 5덕을 지닌 서조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과거 가부장주의가 팽배하던 시절에 쓰였던 이 말은, 사회 전 분야에서 여성의 활동이 왕성한 요즘 시대엔 이렇게 바뀌어 쓰이곤 한다. ‘암탉이 울면 알을 낳는다.’

고래로 닭을 하찮은 존재로 여기거나 비하하는 속담을 찾는 건 그리 어렵지 않다. ‘꿩 대신 닭.’ ‘닭의 새끼 봉 되랴.’ ‘닭 볏이 될지언정 소꼬리는 되지 마라.’ 닭의 갈비를 빗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는 아까운 존재를 일컫는 ‘계륵(鷄肋)’이란 표현도 마찬가지다.

오랜 세월 우리 곁에서 새벽을 알리고 달걀을 낳아주고 단백질을 제공해준 닭이 왜 이런 대우를 받는 것일까. 상서로운 십이지 동물 중 하나인 닭에 대해 우리가 풀어야 할 오해는 없을까.

KTV 국민방송(원장 류현순)은 오는 5일 낮 5시 20분 방송되는 정유년 새해 첫 『파워특강』(연출 심봉근)에서,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으로부터 우리 역사와 생활 속 닭의 민속학적 위상을 들어보는 ‘여명(黎明)과 축귀(逐鬼)의 계명성(鷄鳴聲)’ 편을 방송한다.

이날 방송에선 힘찬 울음으로 새벽을 알리고 빛의 도래를 예고하는 서조(瑞鳥)로서의 닭의 면모를 알아보고, 닭이 밤을 지배하던 귀신과 요괴를 몰아내는 축귀의 능력을 가진 동물로 여겨진 연유를 살펴본다.

또 닭 벼슬이 상징하는 문(文), 발톱에 내포된 무(武), 적을 앞에 두고 용감히 싸우는 용(勇), 먹이를 보고 꼭꼭거려 무리를 부르는 인(仁), 때를 맞추어 새벽을 알리는 신(信) 등 인간이 본받아야 할 닭의 다섯 가지 덕에 관해서도 알아본다.

이 자료에 대해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KTV 방송제작부 심봉근 PD(☎044-204-820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