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북한이 그렇다면 핵실험 카드를 꺼낼지도 주목됩니다.
북한은 이미 두 차례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핵실험을 강행한바 있습니다.
유진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006년 7월 북한은 장거리 미사일 대포동 2호를 발사했습니다.
이후 석 달만인 같은 해 10월에는 처음으로 핵실험을 단행 했습니다.
2009년 4월에는 광명성 2호를 발사하고 한 달만인 5월엔 2차 핵실험을 강행했습니다.
미국을 겨냥한 이른바 '벼랑 끝 전술'의 일환으로 핵실험과 핵을 쏘아 올리기 위한 장거리미사일 발사를 함께 진행해온 겁니다.
때문에 이번에도 북한이 추가 핵실험에 나설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미국, 유엔을 중심으로 국제사회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한 추가 제재에 무게를 두고 있어, 이에 반발한 북한이 더욱 강경한 핵실험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형석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연구위원)
“지금까지 한 것을 보면 미사일 발사 이후에 핵실험을 했으니까 그런 흐름으로 본다면 (핵실험을) 할 개연성이 높습니다. 핵과 미사일이 합체가 돼야 완벽한 전략무기가 되니깐 하는데..)”
북한은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핵실험을 할 준비가 돼 있다는 것이 정부 당국의 판단입니다.
다만 현재 핵실험을 위한 북한측의 임박한 동향은 없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에 대한 신중론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미 두 차례 핵실험을 통해 핵 능력을 입증한 만큼 국제사회로부터 강력한 반발과 제재를 불러올 핵실험을 단행할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하지만 정부는 그동안 북한이 돌출행동을 빈번하게 해 온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KTV 유진향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