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조선일보는 원래빨갱이었다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titbit(tit**)
등록일 : 2002.05.09 15:27
藍?이글은 다른 사이트에서 올겨온 것임을 양해 바람
우리 국민들의 어두운 역사에 대한이해를 도우기 위해서 양해 바람!!
작성자 : 바른말 작성자ID : lineup 작성일 : 2002-05-08

★(충격)조선일보는 원래 빨갱이 소굴이었다???
조선일보는 원래 빨갱이 소굴이었다???
조선일보가 미군철수를 주장했다???

해답은 아래 오마이뉴스 기사에~ ^^

------------------------------------------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

'미군철수' YES, '북진통일' NO
편집국 '좌익'표창, 공무국엔 '적기가'
[현대사발굴] 대선후보 검증 '조선일보의 과거'를 검증한다


정지환 기자 lowsaejae@dreamwiz.com


▲ 대선의 계절은 왔는가? '돌아온 장고'의 등장. <조선일보> 4월 18일 1면
에 실린 '후보검증위원회 출범' 사고 기사.
'돌아온 장고'인가 '작년에 왔던 각설이'인가.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색깔론'을 전면에 내건 채 편파·왜곡보도에 몰두했
던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등 수구언론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대선 후
보에 대한 '사상검증 감별사'를 자처하고 나섰다.

<조선일보>의 '후보검증위원회' 출범과 <중앙일보>의 '대선주자 정책·이
념 조사' 실시가 대표적인 사례에 속한다.

물론 선거를 앞두고 후보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는 것은 언론의 기본적 사명
에 속한다. 그러나 대선 후보의 정책과 이념에 대한 검증과 조사라는 미명하
에 '자신들의 입맛에 맞지 않는' 특정 후보에 대해 편파적인 색깔론 공세를
펼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한마디로 수구언론들이 그 '못된 버릇'을 과연 버릴 수 있겠냐는 것이 그들
의 과거 행적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는 대다수 국민들의 우려 섞인 지적이
다.

특히 "대선 후보들이 출마를 선언하기 훨씬 이전에 행했던 각종 발언과 행적
은 물론, 그들의 사상과 경험을 담은 저서와 기록물 등"을 일일이 추적하겠
다는 조선일보의 선언은 '사상검증'으로 얼룩졌던 과거 대선을 연상케 해 섬
뜩하기조차 하다.

사실 과거의 발언, 행적, 기록 등은 그 당시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해석되는
것이 마땅하다. 그것이 나올 수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을 무시하거나 전후
맥락을 생략한 채 일부 발언이나 기록만을 끄집어내 현재적 시점에서 문제
삼을 때 유권자에게 심각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구언론은 그런 지적에는 전혀 개의치 않고 갈 길을 가겠다는 태세
다. 우리는 그러한 징후를 <중앙일보> 5월 1일자에 실린 '김영희 칼럼'에서
읽을 수 있다.

<중앙일보>의 대기자(大記者)로 알려져 있는 김 씨는 이 칼럼에서 예의 '대
선 후보 사상검증'에 나섰거니와, "재벌들의 주식을 정부가 사서 노동자·농
민·도시서민들에게 나눠주자든가(88년 국회 대정부 질문) 특정신문의 폐간
을 고려한다는 발언(2001년)은 너무 가볍게 들린다. 대통령 후보 노무현은
말부터 무거워야겠다"고 경고하는 것으로 포문을 열었다.

물론 김 씨가 문제삼은 발언에 대해 노무현 후보는 지난 경선 과정에서 충분
히 해명을 한 바 있다. 노 후보는 두 발언에 대해 각각 "상징적이고 비유적
인 표현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 같은 견해를 갖고 있지 않다. 나는 기업에
대해 적대감을 갖고 있지 않다" "언론은 언론의 정도를 가고, 정치는 정치의
정도를 가면 된다"는 요지의 해명을 했고, 대다수 국민들은 그것을 TV와 라
디오를 통해 보거나 들었다.

그러나 김 씨는 이러한 해명은 애써 무시한 듯 다시 이렇게 시비를 걸었다.

"노 후보는 장(場)의 논리를 가지고 그때는 그렇게 말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
다. 그럴지도 모른다. 그러나 대통령 후보 노무현은 지금부터 과거의 발언
하나 하나를 해명하고 설명하고 확인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