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집 고치고 봉사도, 여성 집수리 활동가 양성

국민리포트 토요일 10시 50분

집 고치고 봉사도, 여성 집수리 활동가 양성

등록일 : 2025.07.12 11:33

육서윤 앵커>
여러분은 집에 이런저런 고칠 게 생기면 어떻게 하시나요?
1인 가구 증가 등 시대 변화 속에 이제 여성도 스스로 고장 난 집을 고치는 능력이 필요해 보이는데요.
집도 고치고 취약계층을 찾아가 봉사활동도 하는 '여성 집수리 활동가' 교육 현장을, 이지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이지 국민기자>
(장소: 서울시 강남구)

나 홀로 사는 청년 임예진 씨.
이따금 집 안 곳곳에 손볼 곳이 생기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할 때가 많습니다.

현장음>
"문이 안 닫히는데 못 고치고..."
"이 상태로 계속 계시는 거예요?"

인터뷰> 임예진 / 서울시 강남구, 1인 가구
"에어컨이나 수도꼭지 같은 사소한 게 많이 고장 나요. 그런데 학교나 이런 데에서 (고치는 법을) 배운 적도 없잖아요."

이런 가운데 전국에서 발생한 주거 침입 발생 건수가 지난 2023년 한 해 동안 모두 2만 건 정도로 4년 전인 2019년과 비교해 18% 가까이 부쩍 는 상황, 1인 가구가 계속 늘면서 발생 빈도가 더 잦아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이 때문에 특히 나 홀로 사는 여성은 다른 남성에게 선뜻 집수리를 맡기기가 망설여지기도 하는데요,

(경기도여성비전센터 /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 여성비전센터가 여성이 주거 환경을 직접 돌볼 수 있도록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지 국민기자
"보통 '집수리'라 하면, 남성들만이 하는 일이라는 고정관념이 있는데요. 이곳에서는 집수리 활동가로 뛰게 될 여성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장음>
"나는 태어나서 전동드릴을 한 번도 안 써봤다?"
"써보긴 했는데, 하도 옛날이라서..."

여성 집수리 활동가를 양성하는 교육 첫 시간, 대부분이 주부인 여성 15명이 참여했는데요.
전자기기 전문자격증을 갖춘 강사가 집수리에 필요한 이론과 함께 공구 사용법을 지도합니다.

현장음>
"굉장히 강한 티타늄이나 코발트로 처리해서 모든 것을 다 뚫을 수 있는 날들로..."

인터뷰> 김현철 / 여성 집수리 활동가 양성 교육 강사
"전동드릴 사용법을 익히고, 그것을 통해 집수리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할 겁니다."

이제 전동드릴을 손에 쥔 여성 수강생, 배운 대로 천천히 나무에 못을 박아봅니다.
초보라서 그런지 익숙지 않은데요.

현장음>
"보세요~"

강사가 나서 올바른 공구 사용법을 가르쳐줍니다.

현장음>
"이 면과 완전히 일자가 되도록 만들어 보는 거예요"

사용 요령을 들은 여성 수강생이 다시 시도해 보는데요.
실력이 점차 좋아집니다.

현장음>
"신기하다, 잘 들어간다, 들어가네~"

인터뷰> 유금희 / 경기도 성남시
"제가 하는 일도 조립하고 끼웠다 뺐다 하는 게 있는데 너무 많이 도움받았습니다."

여성 집수리 활동가 교육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올해 또다시 참여한 수강생도 있습니다.

인터뷰> 최지영 / 경기도 화성시
"공구 사용법을 배워서 저희 집 전등도 갈고 실리콘 (작업)도 교육 받고 했었거든요. 그래서 올해도 또 다른 공구를 배우고..."

이들 여성 수강생은 공구 사용법은 물론 주방 일자등 교체와 방충망 설치 같은 다양한 집수리 기술을 배우게 되는데요.
취약계층의 집을 찾아가 봉사활동도 하게 됩니다.

인터뷰> 김현철 / 여성 집수리 활동가 양성 교육 강사
"꺼진 전등을 못 고치고 물이 새는 수도꼭지도 수리하지 못해서 어려운 환경에 살고 계신 분들을 도와줄 수 있도록..."

지난해에는 전등과 방문 손잡이 교체부터 실리콘 작업까지 14가구를 대상으로 봉사활동을 했는데요.
올해도 교육을 마친 뒤 오는 10월까지 수원과 의정부 지역의 1인 가구와 주거 취약가구 20여 곳을 찾아가 봉사하게 됩니다.

인터뷰> 최지영 / 경기도 화성시
"직접 배워서 봉사까지 연결되니까 그 경험이 너무 좋아서 올해도 또 참여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고..."

인터뷰> 진주원 / 경기도여성비전센터 여성소통지원팀장
"단순히 기술뿐만 아니라 공동체에 내가 기여하고 있다는 보람과 자긍심도 느낄 수 있게 기획했습니다."

올해 교육 인원은 수원과 의정부에서 각각 15명씩 모두 30명, 8월 중순까지 매주 한 차례 두 시간씩 진행되는데요.
올해 수강생 접수는 이미 마감돼
추가 희망 여성은 내년 교육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촬영: 이정임 국민기자)

이지 국민기자
“시대 변화로 집 고치는 기술을 배우려는 여성이 갈수록 늘고 있는데요. 이제 집수리 여성 활동가들이 자신의 집을 스스로 고치는 것은 물론, 우리 이웃을 위해 땀 흘려 봉사하는 모습도 쉽게 보게 되길 기대해 봅니다.”

국민리포트 이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