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오늘 개막

오늘부터 이틀간 제주에서 한·아세한 특별정상회의가 열립니다.

이명박 대통령 취임후 국내에서 열리는 첫번째 다자회의로, 이른바 `엠비(MB) 외교'의 지평을 한차원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요.

현장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네,제주 국제컨벤션센터입니다.

한국과 아세안의 대화관계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오늘 오후 서귀포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공식 개막됩니다.

아세안 10개국 모든 정상들이 제주에 도착했는데요, 박영일 기자와 함께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박기자 특별정상회의가 오늘 공식 일정에 돌입하게 되는데요.

먼저 오늘 일정 알아볼까요?

네,말씀하신 것처럼 오늘 오후에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이틀간의 일정으로시작됩니다.

오늘 열릴 정상회의 1세션에서는 이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이 1989년 대화관계 수립 이후 양측 관계 발전을 평가하고 향후 `포괄적 협력관계' 발전을 위한 구체적 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입니다.

이 대통령은 10개국 정상들과 지난 20년에 걸친 한-아세안 협력관계의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한-아세안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의 발전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올해 초 천명한 `신(新) 아시아 외교구상'을 소개한 뒤 한국과 아세안간 경제, 정치, 사회, 문화, 교육 등에서 교류와 협력을 확대할 것을 제안할 예정입니다.

또 북한의 2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잇따른 북한의 무력시위에 대해 의견을 같이하고 북한의 즉각적인 6자회담 복귀를 촉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막에 앞서 라오스,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정상과의 양자회담도 가질 예정입니다.

네,정상회의 공식일정은 오늘 오후지만 어제부터 벌써 관련 행사들이 시작됐는데요, 어제는 제주에서 우리나라와 태국간 정상회담이 열렸었죠?

네, 그렇습니다.

어제 오후 3시부터 약 30분 동안 이명박 대통령과 아피싯 웨차치와 태국 총리와의 정상회담이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서 두 정상은 먼저 양국의 포괄적인 우호협력관계를 전면적으로 심화시키자는데 뜻을 같이했습니다.

최근 북한의 2차 핵실험 문제에 대해서도 양 정상은, 동아시아와 세계평화 안정을 저해하는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아피싯 총리는 북핵 문제를 곧 개최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에서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고, 이 대통령은 아세안이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 적극 협력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아울러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이행하고 6자회담에 즉시 복귀하도록 외교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와 함께 태국의 국책 인프라 구축사업에 한국 기업을 참여시켜 달라고 말했고, 아피싯 총리는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두 정상은 또 한식의 세계화와 대중교통 시스템 분야 그리고 2010년 방콕 경주 세계문화엑스포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아파싯 총리는 태국 음식의 세계화를 추진했던 ‘키친 오브 더 월드 프로젝트’의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겠다고 말했고, 이명박 대통령은 세계 최첨단 수준의 교통카드 시스템이 여러 나라로 수출되고 있다면서 협력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특히, 두 정상은 이번 정상회의 기간에 한국과 아세안이 FTA 투자협정에 서명하기로 한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시했습니다.

그리고 어제 저녁에는 아주 특별한 공연이 펼쳐졌죠?

네, 그렇습니다.

한아세안 11개 나라의 전통 악기들로 구성된 한 아세안 전통 오케스트라가 어젯밤 한아세안 정상 등 1천5백명의 관람객 앞에서 첫 공연을 가졌습니다.

북과 대금, 태평소 등 6종류의 우리나라 전통악기를 포함해 총 11개나라 52종류의 악기가 한국의 전통민요인 쾌지나칭칭을 시작으로 각국의 민요 한곡씩을 연주하며 멋진 화음을 만들어냈습니다.

지난 2005년 우리나라가 제안해 아시아 전통악기만으로 악단이 구성됐고 1년여간의 연습과정을 거쳐 불가능이라는 우려를 가뿐히 떨쳐 내고 첫 공연을 성공리에 마무리 했습니다.

이번 공연을 시작으로 한 아세안 전통오케스트라는 오는 4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일반인을 상대로 공연을 시작할 예정이며 앞으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국가의 장벽을 뛰어넘어 새로운 음악장르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네,그리고 이번 특별정상회의에 대한 아세안 국가의 관심이 뜨거운데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취재하기 위해 제주에 온 내외신 기자들의 취재열기도 뜨겁죠?

그렇습니다.

오늘과 내일 진행되는 정상회의를 취재하려는 경쟁도 그렇지만 사이사이 진행되는 주요 행사나 인터뷰에도 적극성을 띠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제주 국제 컨벤션 센터에는 현장 스튜디오가 마련된 이곳 종합브리핑룸에 200석 규모로 취재기자석이 마련돼 있는데요, 정상회의와 양자회담 관련회의, 부대행사나 기타 언론관심 사항에 대한 브리핑이 모두 이곳에서 이뤄지고 있어 그때마다 각 국에 송고하는 외신기자들의 열띤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외신들은 이번 정상회의가 한국과 아세안의 자유무역협정과 같은 경제 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입니다.

또 관광과 휴양의 섬 제주에 대한 관심도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요.

태국 최대 국영방송사인 NBT는 정상회의 폐막 이후에도 하루 더 남아서 제주 구석구석을 촬영해 한국을 대표하는 고급 휴양관광지인 제주를 자국내 주요방송에 방영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번 회의가 국내에서 개최되는 최대 규모의 정상급 행사이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입장에서 아세안이 중국과 유럽연합(EU)에 이어 한국의 3대 교역대상이자 2대 해외투자 대상이고 2대 해외 건설시장인 만큼 그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리는 제주 국제컨벤션 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