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전통시장, 문화의 아이템으로 [한국의 창]

국민행복시대

전통시장, 문화의 아이템으로 [한국의 창]

등록일 : 2013.07.16

여MC>

계속해서 리사 켈리와

남MC>

최대환이 함께 하는 앵커들의 수다, 한국의 창입니다.

여MC>

최대환 앵커, 이제 휴가철이잖아요.

여행 계획 하시는 분들 많을 텐데요, 여행 가면 꼭 들르게 되는 장소는 어디라고 생각하세요?

남MC>

여러 곳이 있겠죠.

리사 앵커 좋아하는 맛집도 있을 테고요, 외국 여행 가면 유명 박물관이나 미술관도 빼놓지 않고 가는 장소죠.

아, 한 곳이 또 있네요.

유명 여행지에는 유명한 시장도 한 군데씩은 꼭 있죠.

여MC>

그렇습니다. 

여행지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재미 중 하나가 시장구경이죠.

시장구경은 그곳에 있는 물건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삶을 보는 느낌이 들어요.

남MC>

네. 쇼핑을 즐길 수 있을뿐 아니라, 쇼핑센터와는 다른 그 도시만이 가진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곳이 바로 시장이죠.

여MC>

그래서 저는 남대문이나 동대문처럼 큰 시장보다, 도시 곳곳에 있는 전통시장을 더 좋아하는데요, 그 지역 사람들의 생활을 더 잘 느낄 수 있거든요.

또 전통시장에 가면 쇼핑센터에는 없는 덤도 만날 수 있잖아요.

남MC>

그것뿐이 아닙니다.

요즘 전통시장에서는 그곳에서 파는 물건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는 체험공간도 있고요, 공연이나 전시같은 문화행사도 많이 한답니다.

여MC>

거기다 요즘 서울에서는 외국인들도 전통시장을 잘 찾아갈 수 있게 시티투어버스도 운행하고 있잖아요.

이제는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가 되고 있다고요.

남MC>

사실 전통시장 하면 전에는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분들 많았거든요, 그런데 리사 앵커 말처럼 외국인 관광객들도 즐겨 찾을 만큼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네요.

여MC>

바가지는 없고, 덤은 가득한 한국 문화의 아이콘인 셈이죠.

남MC>

그 말이 정답이네요.

올 여름 휴가는 없다 하시는 분들은, 주말 이용해서 전통시장 한 번 들러 보시면 어떨까요?

지금까지 앵커들의 수다, 한국의 창이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