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정부가 민간단체의 대북 인도적 지원을 승인했습니다.
민간단체들도 물품 전달을 위한 구체적인 준비작업에 들어갔습니다.
표윤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정부가 민간단체 5곳의 북한 어린이 지원 사업을 승인했습니다.
이들 민간단체는 북한의 어린이 병원, 탁아소, 유치원 등에 14억 7천 만 원 어치의 의약품, 영양식, 이유식 등을 보낼 수 있게 됐습니다.
정부가 대북 민간지원을 허용한 건 지난 3월 유진벨재단의 결핵약품 지원을 승인한 뒤 넉 달 여 만입니다.
또 정부는 604만달러, 즉 우리돈 67억 원의 정부 예산을 들여 유니세프의 영유아·임산부 백신 지원사업과 아동 영양식 제공 사업을 집행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김형석 대변인/통일부
"지원의 시급성, 필요성, 그 다음에 지원을 하려면 사전에 어느 정도 지원계획에 대한 북한과의 사전협의나 이런 상황을 감안해서 한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제7차 실무회담 제안과 동시에 이뤄진 대북지원 승인이 개성공단 같은 경협문제와 인도적 문제는 분리한다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원칙을 확고히 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조영기/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그 사람들(북한 취약계층)을 위해서 의약품 제공 등을 하는 것은 사실은 경제적 문제, 정치적 문제와 상관없이 그 사람들을 지원하는 것이 맞다…"
이번 승인 대상에 포함된 5개 민간단체들은 북한에 지원 물품을 전달하기 위한 구체적인 준비작업에 들어간다는 계획입니다.
KTV 표윤신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