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예산안
-
시정연설서 '약자 복지' 강조···'지원' 32번 언급 [뉴스의 맥]
김용민 앵커>
네, 앞서 전해드린 내년도 예산안 더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임하경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가장 많이 언급한 단어, '지원'이었죠?
임하경 기자>
네, 18분간 진행된 시정연설에서 윤 대통령은 지원이라는 단어를 32번이나 언급했습니다.
특히 사회적 약자들을 지원하겠다는 데 방점이 찍혔는데요.
약자라는 단어도 ...
-
2023년도 예산안 대통령 시정연설
2023년도 예산안 대통령 시정연설
윤석열 대통령
(장소: 국회 본회의장)
-
오늘 국회서 시정연설···내년 예산안 설명·협조 요청
김용민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의 예산안 심의를 앞두고, 오늘 시정연설을 합니다.
윤세라 앵커>
윤 대통령은 내년도 예산안의 의미와 배경을 설명하고, 국회 협조를 요청할 예정입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를 찾아 시정연설을 합니다.
국회의 내년도 예산안 심의를 앞두고, 의미와 배경을 설명하...
-
2023년 정부 총 지출 639조 원···병 봉급 인상·부모급여 신설 [뉴스의 맥]
김용민 앵커>
앞서 전해드린 것처럼 윤석열 대통령이 새해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을 앞두고 있습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정부의 내년 예산안 편성 방향,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 기자, 새 정부 들어 건전 재정 방침을 잇따라 밝혀왔죠.
정부가 편성한 내년 지출 총액은 얼마인가요?
김경호 기자>
네, 정부안에 따르면 내년 총 지출...
-
2023년도 국방예산···규모와 중점 투자방향은?
최대환 앵커>
내년 국방예산이 올해 보다 4.6% 증가한 57조 1,268억 원으로 편성됐습니다.
엄중한 안보 상황을 고려해, 건전재정 기조에도 불구하고 국방 분야에 중점 배분 한 건데요.
고도화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형 3축체계 투자 예산을 늘리고, 장병 복지 개선 등을 통한 병영 환경 개선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
-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예산안···주요 내용은?
최대환 앵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보다 2.3% 증가한 18조 8천억 원 규모로 내년 예산안을 책정했습니다.
기술패권 경쟁시대에 맞춰 초격차 전략기술을 확보하고 국가 디지털 혁신에 집중한다는 계획인데요.
반도체와 원자력, 6세대 통신기술을 비롯한 주력 전략기술은 경쟁국과 확실하게 격차를 벌린다는 복안입니다.
또한, 양자컴퓨터와 바이오와 같은 첨단...
-
내년 체육예산 1조 6천억···국가대표 훈련수당 1만 원 인상
최대환 앵커>
문화체육관광부가 내년 체육 분야 예산안 1조 6천억 원을 편성했습니다.
송나영 앵커>
저소득층을 위한 스포츠 강좌이용권 지원 규모가 대폭 늘고, 국가대표 훈련 수당이 하루 8만 원으로 1만 원 오릅니다.
채효진 기자가 자세히 소개 합니다.
채효진 기자>
문화체육관광부가 내년 체육 분야 정부 예산안으로 1조 6천117억 원을 ...
-
생애주기별 지원···'부모급여·청년도약계좌' 도입
김용민 앵커>
최근 정부의 첫 예산안이 발표됐는데요.
만 0-1세 아동을 양육하는 가구에 매달 지급되는 부모급여가 신설됩니다.
윤세라 앵커>
또, 청년의 자산형성을 위한, 만기 5년의 '청년도약계좌'를 운영하는데요.
내년부터 '생애주기별'로 달라지는 정부 지원을, 신국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신국진 기자>
내년부터 생애주기별 국민 지원이...
-
2023년 농식품 예산 17조 3천억···식량주권 확보·청년농 양성
윤세라 앵커>
정부는 내년 '농식품 분야'에, 17조 3천억 원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가루쌀 산업'을 활성화해, '식량 주권'을 확보하고, 청년농 3만 명을 육성합니다.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정부의 내년도 농식품 분야 예산이 17조 2천785억 원으로 편성됐습니다.
올해와 비교해 2.4% 증가한 규모입니다.
내년 예산은 식량 ...
-
국방예산 57조···3축 체계 강화·병장월급 130만 원
윤세라 앵커>
어제 639조원 규모의 '정부 새해 예산안'이 발표됐는데요.
오늘부터 '부처별 예산안'을 자세히 소개하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먼저 '국방예산'입니다.
내년 국방예산은, '북한 핵미사일 대응역량 강화'와 '미래세대 병영환경 조성'에 중점을 뒀는데요.
고도화하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형 3축 체계 예산'을 크게 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