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이 늘고 금리인상 등 영향으로 소비자들의 금융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금융당국이 중도상환수수료 제도 개선과 소비자 부담 경감 방안을 내놨는데요.
차영주 와이즈경제연구소장과 자세히 살펴봅니다.
(출연: 차영주 / 와이즈경제연구소장)
임보라 앵커>
가계대출이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은 한 달 새 5조 원 가까이 늘어나는 등 증가 규모도 지난달보다 커지고 있는데요.
왜 이렇게 늘어날까요?
임보라 앵커>
이에 금융소비자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2월 한 달' 가계대출 중도상환수수료를 면제해주기로 했습니다.
은행 대출을 일찍 갚으려고 해도 목돈이 필요한 중도상환수수료 부담!
수수료 면제로 대출 축소 효과를 노려볼 수 있을까요?
임보라 앵커>
기존엔 주택담보대출을 갈아타기 위해 수백만 원에 달하는 중도수수료를 내야하는데, 이번 기회를 이용하면 부담을 한층 줄일 수 있는 것 아닐까요? 어떻습니까?
임보라 앵커>
정부는 해외 사례 등을 고려해 중도상환수수료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고도 밝혔습니다.
해외 중도상환수수료 부과방식과 우리의 차이는 무엇일지, 이를 감안해 어떤 부분부터 개선이 이뤄질까요?
임보라 앵커>
사실 인터넷전문 은행에서는 중도상환수수료 면제를 꾸준히 연장해오고 있고, 현금자동입출금기 수수료 역시 면제를 지속해고 있습니다.
시중은행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도 적잖을 듯 하네요.
임보라 앵커>
고용노동부가 상습-고의적 임금체불 의심 업체를 감독하며 91억 원이 넘는 체불 임금을 적발하고 사법처리에 나섰습니다.
상습 체불임금 근절할 전략이 절실해 보이는데요?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차영주 와이즈경제연구소장이었습니다.
오늘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