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보도자료

공공누리 공공제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표시-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KTV스페셜, '어느 참전용사의 약속' 방송

글자확대 글자축소
조회 : 1852
등록일 : 2007.06.20 10:22

KTV스페셜, ⌈어느 참전용사의 약속⌋ 방송


‘군번(0167621)이 적힌 수통으로 찾은 삼촌’ 등 유해 발굴 현장보고서


-  6월 22일(금), 밤 10시 방송 -


6.25 전쟁 당시 유해를 찾지 못한 전사자가 13만 여명에 이르며, 그 중 올해 현재 281구를 포함 1,769구( 1,484구/2000~2006년)의 전사자 유해만을 찾아냈다

                    

한국정책방송KTV(원장·윤형식)는 6월22일 밤 10시 6.25전사자 유해발굴현장 보고서 프로그램인 ⌈KTV스페셜, 어느 참전용사의 약속⌋을 방송(50분)한다


이 프로그램은 각각 다른 발굴현장에서 찾아낸 유해(금니)와 유품(사진, 수통)을 통해 반세기만에 유가족 품으로 돌아간 전사자의 안타까운 세 가지 사연을 중심으로 구성한 유해 발굴 현장 보고서이다


지난 5월부터 한 달여 전남 영광에서 찾은 50여구의 유해 중 당시 해남 경찰관으로 영광 불갑산 기슭에서 전사한 아버지를 금니가 있는 유해와 아버지 것으로 추정되는 유품을 통해 극적으로 유해를 확인하여 화제가 된 오종팔씨 유가족 이야기 ‘57년만에 만난 아버지!’, 또 가평 유해발굴 현장에서 발견한 빛바랜 학도병출신 얼굴 사진 한 장이 매스컴을 통해 세상에 알려지면서 신원을 확인할 수 있었던 ‘사진으로 찾은 형님!’


올해 강원도 양구와 홍천일대에서 유해발굴감식단과 함께 동행 취재하던 제작진에 의해 촬영된 유해와 군번이 적힌 수통으로 삼촌임을 확인한 조카 민재근씨의 사연인 ‘군번 0167621이 적힌 수통으로 찾은 삼촌!이 소개 된다


이외에도 1950년 8월 10일 한국전쟁에 참전해 일기를 남기고 얼마 후 전사한 ‘소년병 이우근(당시 동성중학교)의 일기’ 와 ‘태극기 휘날리며’영화 속 감식단원의 모티브이자 강의가 없는 날은 유해 발굴 현장을 찾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의 박선주 교수(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를 만나본다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은 정부가 2005년에 국가영구사업으로 확정하고 올 1월‘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을 창설하는 등 나라위한 희생을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는 국가적 과업으로 설정 실천하고 있는 정책이다


지난 현충일, 경기도 포천시에서 진행 중인 6.25 전사자 유해발굴 현장을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방문한바 있다.  (끝) <사진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