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9월 7일 방송을 보고 나서

글자확대 글자축소
프로그램명 : 소통 코리아
작성자 : 이지현(lee**)
조회 : 1037
등록일 : 2012.09.08 16:35

 <공감브리핑>과 <소통 UP  스마트UP>을 통해 정책 뉴스와 정부 부처가 소통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효과적으로 전달했습니다. 이를 위해  SNS 화면과 CG 등을 적절히 활용했어요. <인물포커스>에서는 프롤로그를 통해 아이템이 지닌 소통의 의미에 대해 부각시켰습니다. <집중기획>에서는 꼼꼼한 취재와 정보를 중심으로 코너의 성격을 잘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그런데 [소통코리아] 가 전체적인 틀이 짜여졌으므로 아이템 조율에도 심혈을 기울였으면 합니다. 오늘 코너에서 각각의 아이템들은 코너의 성격에 부합하고 의미 있는 것들이었지만요. 프로그램 전체를 봤을 때 성격이 비슷비슷한 아이템들이 배치되었습니다. <인물포커스>와 <집중기획>에서 취지는 다르지만 독서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공감브리핑>과 <소통 UP, 스마트 UP>에서도 정부 정책소식이나 부처의 소통 이벤트를 다루고 있었는데요. 두 코너 중 한 코너가 미담, 혹은 소프트한 아이템을 다루었다면 다른 한 아이템은 사회적 이슈가 되는 아이템을 선정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또한 [소통코리아]의 성격이 정책 홍보나 캠페인 성격에 치우치지 않고 진정한 소통에 접근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이템의 범위를 열어놓고 주제를 확장시키는 것이 '소통'에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여러번 언급했듯이 스탠딩 진행시 테이블이 낮아 화면 구도가 다소 어색하구요. 큐카드의 활용도 고려해보셨으면 좋겠네요.

프로그램내 인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