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표한 고유가 시대의 경제적 대응방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정경제부 조원동 차관보 자리에 함께하셨습니다.
Q1>
이번 대책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입니까?
Q2>
서민․저소득층 가계에 대한 부담 경감 방안이 이번 대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요, 이번 유가 대책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사항은 무엇입니까?
Q3>
고유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각에서는 유류세를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이번 대책에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유류세 인하가 검토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Q4>
그동안 정유사가 담합을 통해 폭리를 취하면서 소비자의 부담을 가중시켰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대책도 마련됐습니다.
정유사간의 담합을 방지해 석유가격 인하를 유도한다는 건데요, 어떻게 진행할 계획입니까?
Q5>
방과후 학교 바우처 제도, 노인돌보미 바우처 제도 등이 현재 시행되고 있습니다.
에너지 분야에도 바우처 제도 도입이 검토된다고 하는데요, 에너지 바우처 제도가 무엇이고 어떤 내용인지 소개부탁 드립니다.
Q6>
앞으로 유가 불안이 계속될 경우에 대해선 어떤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까?
지금까지 재정경제부 조원동 차관보와 함께 고유가 대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