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중앙행정기관의 실장·국장급 국가공무원을 통합·관리하는 고위공무원단제도가 7월1일부터 본격 시행된다.
고위공무원단제도가 실시되면 각 부처 장관은 소속에 구애받지 않고 적임자를 임명할 수 있게 되고, 맡은 직무와 성과에 따라 보수에도 차등이 생기게 되는데...
이제 고위공무원들은 다른 부처 공무원이나 개방형으로 공직에 임용된 민간인 전문가들과도 경쟁을 벌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세기 이상 유지되어 온 서열주의의 인사제도를 직무와 성과 중심으로 전환하는 획기적인 제도가 될 고위공무원단제도.
하지만 50년간 이어온 인사제도의 틀을 깨고 실시되는 제도인 만큼 우려의 목소리도 들려오는데...
자리보존을 위한 줄대기와 정치권 눈치보기, 전문성 약화, 객관적 평가기준 마련 등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성공적으로 제도를 정착시킬 수 있을 것인가?
고위공무원단, 그 역사적 출범을 앞두고 그 내용과 기대효과에 대해 중앙인사위원회 조창현 위원장에게 들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