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2024.6.4~6.5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재활치료 전담기관인 국립재활원이 시설과 인력 확충에 들어갑니다.

전국 여섯개 권역에 재활병원이 세워지고 더욱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재활연구소도 문을 엽니다.

이정연 기자>

우리나라 장애인 열명 가운데 아홉 명은 후천적 장애인입니다.

각종 질병과 사고가 증가하면서 전문 재활치료가 필요한 장애인들도 매년 크게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교통사고로 지체장애인 1급이 된 윤민탁씨도 그 중에 한명입니다.

사고 후 자살까지도 생각했었다는 윤씨는 한 달 전부터 국립재활원에서 재활치료를 받으며 삶의 의지를 다잡았습니다.

하지만 재활치료 공급은 수요에 턱없이 못미칩니다.

전문적으로 재활을 전담하는 병원으로는 국립재활원이 거의 유일한데다 병상을 200개 운영하고 있어 두 달은 기다려야 입원이 가능합니다.

국립재활원은 이 같은 상황을 개선하고 장애인 재활 치료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비전을 밝히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병상을 100개 더 지어 2년 후엔 300개까지 늘리고, 17명의 전문인과 최신 장비를 갖춘 재활연구소를 오는 8월 개원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경기도 인천을 비롯해 영남, 호남 등 여섯 개 권역에 재활병원이 세워져 더 많은 장애인들이 가까운 곳에서 체계적으로 재활치료를 받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200여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선 휠체어에 탄 장애인이 재활에 성공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새로운 CI도 선보여 눈길을 끌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