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지난 2003년부터 시작된 전국 곳곳의 경제자유구역 개발, 그 동안에 좀 더딘 감이 있었는데 이제 가속이 붙게 됐습니다.
정부가 앞으로 10년 동안 82조원을 투입하고, 외국인 투자에도 박차를 가하기로 했습니다.
여>
정명화 기자입니다.
올해까지 국내 경제자유구역의 10년간 개발 진척도는 53%에 그치는 상황.
목표치보다 10% 가량 낮은 수치입니다.
이에 정부는 본격적인 투자환경 조성을 위한 경제자유구역 제1차 기본계획을 마련했습니다.
우선 2022년까지 82조원을 투입하고, 총 200억달러 규모의 외국인투자를 이끌어 내겠다는 계획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자유구역은 지난 2003년 인천과 부산·진해·광양만권이 지정됐고, 지난 2008년엔 황해, 대구와 경북.새만금과 군산, 그리고 올해엔 동해안과 충북이 지정돼 모두 8곳입니다.
정부는 이 8곳의 구역들에 외국인투자 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각 구역별로 중점 유치업종을 선정해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또 구역내 개발 관련 규제를 완화해 외국의료기관의 설립을 지원하고, 서비스기업 1천여곳을 유치해 서비스산업의 성장거점을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
지지부진한 지구에 대한 구조조정 작업도 병행됩니다.
정부는 내년 8월까지 개발사업자가 지정되지 않는 지구에 대해서는 지정해제 등 구조조정을 해나가고, 8개 구역의 개발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신규 지정을 엄격히 제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TV 정명화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