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근 앵커>
오미크론 변이 유행으로, 확진자 수가 연일 9만 명 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방역당국은 의료 대응 여력과 사회·경제 영향을 고려해 내일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혜진 기자, 우선 위중증 환자와 확진 현황부터 전해주시죠.
이혜진 기자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네, 현재 입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389명, 사망은 36명입니다.
신규 확진자는 9만 3천135명을 기록했습니다.
위중증 환자 수가 이번 주부터 늘고 있지만 델타 변이 확산 당시와 비교하면 증가세는 둔화됐다는 게 방역당국의 설명입니다.
방역당국은 이와 함께 그동안 중환자실과 준중환자실을 계속 확충했기 때문에 위중증 환자 수가 1천500명에서 2천 명까지 발생해도 감당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중환자와 사망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지금까지 통제 범위 안에서 대응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으로 중요한 과제는 유행의 정점을 전망하고 사회필수기능을 유지하는 일인데요.
질병관리청은 사회필수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업무 연속성 계획, BCP 가이드라인을 각 부처에 내렸고 소관 부문별로 계획이 수립됐습니다.
지금처럼 전반적으로 확진자가 급증하고 각 기관 내 감염도 증가할 때 어떻게 대처할지에 대한 계획을 개별 기관 특성에 따라 세워놓는 건데요.
지금까지 재난관리책임기관 367곳, 전체의 97.6%에서 BCP 계획 수립을 완료한 상황입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방안은 오늘(17일) 일상회복지원위원회와 내일(18일) 중대본 회의를 거쳐 발표됩니다.
거리두기 조정과 관련해 쟁점이 다양하고 상반된 의견도 오가는 상황인데요.
방역당국은 기본적으로 중환자와 사망자를 최소화하고 의료대응체계 과부하를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의료체계 관리역량과 거리두기에 따른 사회·경제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거리두기 조정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적모임과 영업시간 제한 조정 여부는 물론 거리두기 적용 시기를 언제까지로 할지 등 다양한 내용이 의견 수렴을 통해 이번 조정안에 담길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 장현주)
지금까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