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비상진료에 따른 병·의원 이용안내 페이지로 바로가기 의대 증원 필요성과 의사 집단행동 관련 영상보기
본문

올 한해 국정운영의 최우선 과제는 아무래도 일자리 창출이 아니었나 싶은데요.

올 한해를 결산하는 연속기획! 오늘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일자리가 돌아가도록 숨바쁘게 달려온, 정부의 일자리 정책과 그 성과를 되짚어봤습니다.

올해 국정운영의 최고 화두는 고용문제였습니다.

청년실업과 베이비부머들의 정년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일자리 정책의 주무부처인 고용노동부의 행보도 빨라졌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우선, 실효성이 떨어지는 행정인턴을 폐지하고, 취업과 연계성이 높은 중소기업 취업인턴제를 확대했습니다.

실제로 올 한해 청년인턴을 수료한 사람은 8천 5백여명.

이 가운데 87%를 차지하는 7천4백여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됐습니다.

정부는 이런 성과를 반영해서 내년에는 인턴 참가자를 6만6천명으로 늘리고, 이를 통해 3만7천 여개의 새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입니다.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정책도 내실있게 추진됐습니다.

최저생계비 150% 이하인 저소득층과 결혼이민자 등 사각지대에 놓인 근로빈곤층 6천 7백여명에게 개인별 취업상담에서부터 직업훈련, 동행면접까지 단계별로 취업을 지원했습니다.

이런 취업성공패키지사업에 참가한 10명가운데 7명이 취업에 성공해 명실상부한 취업지원서비스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사회적 목적과 영리를 함께 추구하는 사회적기업도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동력으로 활용됐습니다.

3년전 30여 곳정도에 불과했던 사회적기업은 이달 기준으로 전국에 500여곳이 설립됐습니다.

모두 1만 5천여명이 일자리 얻었고, 이중에 60%가 취약계층에 속합니다.

이은애/사단법인 '씨즈' 혁신지원사업단장

"영리기업들은 사실 글로벌 경쟁을 위해선 고용없는 성장을 감수해달라라는 상황이어서 그러면 제3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그게 국민들의 소득을 만들고 내수를 촉진시킬 수 있게끔 연결시킬 수 있는 고리를 누가 만들겠느냐...사실 이고민에서 사회적 기업이 주목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사회적기업을 더 육성하기로 했습니다.

이밖에도 인력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일자리 중개서비스를 대폭 강화하고 임금피크제를 실시하는 등 다양한 고용정책들을 펼쳤습니다.

정부는 청년과 고령자, 여성 등에게 더 많은 일자리가 돌아갈 수 있도록 현장중심의 고용정책 기조를 내년에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앞으로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는 등 내년에는 새 일자리 28만개를 만든다는 목표입니다.

KTV 신혜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