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더이상 늦출수 없는 원자력 사업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편광수(편광수**)
등록일 : 2004.10.01 10:36
고유가 시대가 도래되었다. 에너지자원의 97%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로서는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을 않게된 셈이다. 특히 경제규모에 비해 석유
의존도가 높아서 유가급등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1차에너지
중 석유의존도는 미국, 일본보다 앞서는 49.1%이다.

현재 많은 선진국들은 장기적으로 에너지원을 확보하기 위한 전쟁을 하고
있다. 과거 미국의 TMI 사고 및 구소련의 체르노빌 원전사고로 사양길을 걷
고 있던 원자력 사업이 요즈음 선진국에서는 고유가를 타개할 에너지원으
로 부상하고 있다.

과연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현재 원자력은 국내총발전량의 40%를 감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저비용 고효율의 원자력은 저렴한 전기를 공급하므로서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한 것을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 세계의 흐름
에 역행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반핵단체 및 지자체에서는 원자력과 관련된 모든 사업을 무조건 반대하고
있다. 뚜렷한 대안도 없이 반대만 하고 있다. 물론 재생에너지 부분은 공감
을 하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대체에너지는 장기적인 과제이다. 현실적으
로 대체에너지로서 많은 전력량을 생산하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우리는 직
시해야 한다.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경우 무역수지는 약 81억 달러가 발생한다. 대체에너
지의 기술이 발전될때까지 고유가를 대신할 에너지원은 원자력이라는 사실
을 우리 모두는 알아야 할 것이다. 고유가의 경제적인 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정부도 국가적인 에너지원 확보차원에서 원자력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에너지 자원 부족국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겠
다.

프로그램내 인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