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CNN,북핵해결안되면 파병안해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korea(kor**)
등록일 : 2003.10.04 14:11
CNN,북핵해결안되면 파병안해
한국, 파병 신중론
SEOUL, South Korea (CNN) / 김수진 (JOINS) 2003.10.02 17:19 수정
한국 정부는 북핵문제를 둘러싼 대치상황이 평화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면, 이라크 파병을 사실상 배제 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노무현 대통
령은 국군의 날 기념연설을 통해 북한에 핵야욕 포기를 촉 구하면서, "한국
정부는 현 위기상황이 종결되기 전까지는 이라크 평화유지군 역할에 대해
고려할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AP통신은 "파병 문제를 결정하기에 앞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대한 낙관적인 전 망과 확신을 얻는 것이 너무나
중요하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나는 북한에게 핵개
발 포기하고, 평화와 공존의 길로 나오라고 다시한번 촉구하는 바이다."
노 대통령은 또한 북핵문제를 논의할 2차 다자간 회담이 열릴 것으로 확신
하고 있으며, 회담이 좋은 성과를 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일본, 한
국, 인도 등 아시아 맹방들에게 이라크 전후 안정 문제로 고군분투하고 있
는 미군을 지 원할 수천명 규모의 전투병력 파병을 요청하고 있다. 하지
만, 파병에 대한 반대 여론이 큰 상황에서 이 나라들은 신중한 모습을 보이
고 있다. 미국과의 관계 증진을 위해 이라크 파병 문제에 찬성하고 있는
한국인도 일부 있긴 하지만, 상당수는 이라크전이 부당한 행위였으며, 한국
이 병력을 파병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미국은 핵문제를 두고 북
한과 근 1년간 대치상황에 놓여있다. 핵 위기상황을 해결 하기 위한 다자간
회담은 미국과 북한의 견해가 너무 달라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
다. 한국 정부는 북한에 현 위기상황을 종결시키기 위한 첫 단추를 끼우라
고 압력을 가하고 있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평화적 해결을 위해 미국이 중
요한 결정을 내려주길 바라고 있다. 북한은 계속해서 "핵무기 개발 을 포기
하기에 앞서 먼저 지원을 약속하고, 침략하지 않겠다는 불가침조약을 체결
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북한의 협박에 몰려 양보를 하
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북한이 먼저 핵개발을 포기해 야한다고 주장하고 있
다. 지난 8월 베이징에서 열린 6자회담(북한, 미국, 한국, 일본, 러시아,
중국)은 차후 회담에 대한 막연한 합의 외에 어떤 성과도 내지 못했다. 화
요일 북한은 차후 회담에 참가하겠다 고 약속한 적이 없다고 발표했다. 하
지만, 이날 성명의 어조는 북한이 협상테이블로 돌아올 수도 있다는 가능
성을 암시했다. 한편, 노무현 대통령은 차후 회담이 개최될 것으로 확신한
다고 밝혔다. "머지않아 2차회담이 열릴 것이며, 이 회담을 통해 좋은 성
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노 대통령은 말했다. 국군의 날 55주
년 기념 시가행진에서 한국군은 신형 미사일을 공개하고, 한국산 크루즈미
사일과 프랑스산 휴대 미사일 등 향상된 무기들을 선보였다. 이날 시가행
진은 (대통령 임기) 5년 중 첫 해에 치 러지는 대규모 행사였다. 이전에 기
념행사는 북한과의 화해 분위기를 고취시키기 위해 대규모 관병식은 피해
왔다. 한국의 내년 국방예산은 8.1% 증가한 18조9천억원으로 책정됐으
며, 이는 7년래 최고 증가치다. 50년전 체결된 상호방위조약에 따라 미국
은 3만7천 병력을 한국에 주둔시키고 있다. 이는 1950-53년간 계속된 한국
전쟁이 남긴 결과물이자 북한에 대한 전쟁 억제책 역할을 하고 있다.
SEOUL, South Korea (CNN) / 김수진 (JOINS)

파병된다고 해도, 이라크 북부로 파병간다면 희생자는 많이 생길것 같은
데, 파병주장하시는 가짜보수 가짜우익 분들 책임과 여론은 어떻게 하실런
지 파병에 따른 대규모 희생에 충격과 공포 대변혁에 오히려 걱정되는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