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분명 처방을 하면 환자들 약처방이 쉽다고요?
성분이 같으면 모든 약이 효과가 비슷할까요?
제작진은 아시나요?
성분이 같아도 천차만별의 효과가 있다는 것은 약사들도 잘 압니다.(모르
나?)
그럼 같은 성분의 약을 대체조제 가능하다면,그 대체조제 가능하다고 판단
하는 것은 누가 하나요? 어떤 실험 결과를 가지고 하지요? 누가 실험하지
요? 우리나라가 미국에 비해서 얼마나 이부분에 예산이 적은지....FDA에 턱
없이 못 미치는 기준을 가지고 있는지 아나요?
아무 약이나 대체조제하면 그 약 먹은 효과는 그 약사가 책임질 겁니까? 제
작진은 아시나요?
저렴한 약이라구요? 당신은 저렴한 약과 비싼 약의 차이를 아십니까? 뭣 때
문에 누가 바보여서 약을 비싸게 판답니까? 비싼 데는 이유가 있는 법. 가전
랜드에 가셔도 압니다.
아무 약이나 먹고 효과가 잘 안 나타날 때는 누구를 원망하시렵니까? 성분
명 처방에 대한 논란은 그렇게 간단한 것이 아닙니다. 의사가 경제적 이익
이니 리베이트니 하는 것 때문에 성분명 처방을 반대하는 줄 아십니까? 세
계적으로 의약품을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나라를 취재하보심이 어떨까요?
왜 약품명으로 처방해야 하는지는 관심이 없으신지요? 당신도 아플 때 무
슨 약을 먹을 지 생각해보십시오. 의사들의 주장을 싼 값에 넘기려는 이런
주장을 반대주장도 없이 방송하는 것은 참 한심한 일입니다. 잘 생각해 보
십시오.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라구요? 건강사회를 좀 더 생각해 보셔야
할 것입니다.
단순히 처방전에 있는 약이 없어서 돌려 보낼 때 맘이 아프다는 이유로 성
분명 처방을 하려는 약사에게,착하다고 할 수는 있어도 올바르다고 할 수
는 없을 것입니다.
한쪽의 의견만 듣고 방송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답변을 부탁드려도 아무도 안 하시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