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2024.6.4~6.5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정부, 기술유출 방지대책 마련

그런데 기술력이 생명인 중소기업의 핵심기술이 빼돌려지는 일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습니다.

정부가 기술 보안 교육과 인력관리를 한층 강화하는 등 기술유출 방지대책을 마련했습니다.

김미정 기자>

인터넷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한 벤처기업.

최근 10억원 규모의 국책과제를 연구하는 도중에 직원 세명이 차례로 회사를 나갔습니다.

그런데 얼마 뒤 이들은 기존에 개발하고 있던 것과 동일한 제품으로, 국책 과제에 입찰해 최종 선정됐습니다.

모터 드라이브를 생산하는 한 중소기업도 거래하던 기업에 시제품 도면을 넘겨준 뒤 매출액이 30% 이상 감소했습니다.

알고 보니, 도면을 넘겨받은 기업이 중국에서 똑같은 제품을 생산하고 있었던 겁니다.

지난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유출 건수는 27건, 적발되지 않은 사례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처럼 유출 사례가 늘어나자 정부가 기술유출 방지대책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우수한 기술이 있으면서도 보안 시스템이 없는 업체에는 기술 선별을 통해 보안장비를 보급할 계획입니다.

또 중소기업의 산업보안 인식을 높이기 위해 현장 위주의 보안교육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해외로 진출하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보안 조사와 교육이 병행됩니다.

중소기업청은 최근 해외로의 기술유출이 증가함에 따라 실태조사를 연 2회로 늘리고, 대상 기업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보안교육 신청과 보안 시스템 지원을 원하는 업체는, 오는 17일부터 한 달 동안 인터넷을 통해 접수하면 됩니다.

중기청은 이와 함께, 오는 10일부터 17일까지 기술 유출 방지대책에 대한 지역별 순회 설명회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