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 질서 준수와 경제 성장, 언뜻 별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실은 지대한 영향이 있다고 합니다.
6일은 새 정부 출범 이후 경제 살리기에 국가적 노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새롭게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른 이른바 '사회적 자본'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를 짚어봅니다.
경제팀 이해림 기자 나왔습니다.
어서오십시오.
Q> 사회적 자본, 아직은 좀 생소한 개념인데요, 그 내용과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나라들의 공통점이 '사회적 자본'의 수준이 높다는 것인데, 우리나라의 수준은 어떤지 살펴볼까요.
Q> 특히 어떤 부문들이 저평가됐습니까.
Q> 네, 사실 경제라는 것도 사람과 사람간의 상호관계가 기반이 되는 건데요, 이렇게 취약한 사회적 자본이 경제에는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게 되나요.
Q> '사회적 자본'이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경제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군요. 자, 그러면 이제 사회적 자본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요.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