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중국 베이징에서 개막된 북핵 6자회담이 오늘 이틀째 회의를 갖고, 핵시설 검증의정서 채택문제를 집중 협의할 예정입니다.
회담이 열리고 있는 현장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김용남 기자.
Q1> 오늘이 회담 이틀째인데, 어떤 것들이 주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됩니까.
A1> 오늘은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이 만든 초안을 토대로 검증의정서 채택문제를 집중 협의할 예정입니다.
중국은 전날 관련국들이 제시한 의견을 바탕으로 검증의정서 초안을 만들어 회람시킬 예정인데요, 초안에는 핵시설 검증주체와 함께 대상,방법,시기 등이 구체적으로 담길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은 시료채취문제인데요,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일본은 검증의 핵심인 시료채취가 합의문에 담겨야 한다는 게 기본입장이지만 북한이 시료채취는 나중에 다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어떻게 합의점을 찾을 지 주목됩니다.
Q2> 말씀하신대로 어제 논의를 바탕으로 중국이 초안을 만든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어제 첫날 회의에서 의견이 모아진게 있었나요?
A2> 아직까지 어제 첫날 회의에서 어떤 합의가 이뤄졌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당초 예상대로 6자회담 당사국들은 검증의정서에 관해 서로 기본 입장을 교환하는 것으로 첫 번째 논의를 마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검증의정서에서 채택되느냐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시료채취 부분에 대해 우리측 김숙 수석대표는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했다면서도 북측에 핵심사항에 대한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숙 수석대표의 말입니다.
"우리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검증의정서에 모호성 보완을 위해 핵심사항 투명성 있는 규정, 정의가 있어야겠다 중국에 밝히고 양자차원에서 북측에 밝혔다. 6자 차원에서도 얘기했다. 북한으로선 자신들이 합의한 내용에 있어서의 구체적 추가적인 그런 논의나 합의에 대해 아직 준비가 안된 것으로 느껴졌다."
6자회담 첫 논의에 앞서 의장국인 중국은 기조연설을 통해 북핵 검증의정서와 2단계 마무리, 동북아시아 평화안보체제 등 3가지를 이번 6자회담의 의제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Q3> 우리측 김숙 수석대표가 대북 경제 에너지 지원과 검증의정서 채택의 포괄적 연계에 관해 얘기했다는데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주시죠?
A3> 어제 김숙 수석대표는 오후에 가진 내외신 브리핑에서 검증의정서 채택과 2단계 핵불능화 마무리, 또 대북 경제에너지 지원 문제는 어느 한쪽을 해결하고 한쪽은 미룰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서 모두 해결되지 않으면 이번에 다 해결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숙 우리측 수석대표의 말입니다.
"저는 검증의정서 토의되기 이전에 경제에너지 지원 문제 토의해야 했기에 상세 설명.
그러나 행동 대 행동 원칙에 입각 북측 해야할 불능화 조치, 우리가 이번 6자회담 있어 다음에 토의해야 할 검증의정서 문제 포괄적으로 한꺼번에 논의돼야 하겠다고 얘기했다."
우리측은 또 납북자 문제 미해결을 이유로 일본이 미루고 있는 20만 톤 대북 중유지원에
대해서 아직 국가나 액수를 밝힐 단계가 아니라면서도 6자 당사국들이 어떻게 이를
조달할지에 대한 계획에 동의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