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금융위기가 실물경제로 전이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수출과 내수가 위축되는 등 침체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금융과 실물경제의 동반 침체를 막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데요.
제도와 기구를 아우르며 전방위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정부 대응을 정리해봤습니다.
미국발 금융위기로 시작된 세계적 경기침체가 이제 국내 실물분야에까지 빠른 속도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금융과 실물 양면을 지원하기 위해 정책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먼저, 금융부문에서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등을 통해 시장 자금 공급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한은은 지난 10월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시장의 원활한 자금 공급을 꾀한 데 이어, 추가 금리인하의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는 상탭니다.
또한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지원 실적에 따라 시장금리보다 낮은 금리로 자금을 배정해주는 총액한도대출을, 기존의 6조5천억원에서 9조원으로 7년만에 증액한 바 있습니다.
여기에, 한미 통화스와프 자금 40억달러를 지난 2일에 국내 금융기관에 공급했고, 추가로 30억달러에 대해서도 어제 오전에 공급을 완료했습니다.
정부는 이같은 금융부문의 조치가 실물 부문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습니다.
산업현장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운영돼온 분야별 위기대응반과 기업도우미센터를 통합해 출범한 실물경제종합지원단이 그 중심에 있습니다.
김선민 부단장/실물경제 종합지원단
“저희 실물경제 종합지원단의 역할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실물경제의 동향을 파악하고 정확히 문제점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특히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기업이나 기술력이 있는 기업
또 여러
산업에 파급 효과가 큰 기업의 경우에는 특별하게 지원을
할 방침입니다.“
실물경제종합지원단은 향후 현장중심의 애로사항 점검과 범부처적인 문제 해결을 통해 핵심 산업과 중소기업 지원에 총력을 다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지금의 위기극복에 급급하지 않고 위기 이후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녹색성장과 기술혁신 분야에 대한 투자를 통해 미래 시장의 선점에도 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