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당국회담이 북한의 일방적인 통보로 무산된 것과 관련해 청와대는 공식반응을 자제하는 모습입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굴종과 굴욕을 강요하는 행태는 바람직한 남북관계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박성욱 기자입니다.
실무접촉부터 진행을 더디게 만든 '격'의 문제가 결국 발목을 잡은데 대해 청와대 관계자가 강한 유감을 나타냈습니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회담 무산에 대해 굴종과 굴욕을 강요하는 행태는 남북관계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또 새정부 들어 첫 남북간 대화인데 서로가 존중을 하면서 진지함과 진정성을 갖고 객관적으로 누구나 다 짐작할 수 있는 상대를 내세우는 것은 기본이 아니겠느냐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북한도 유엔에 가입하고 나서 국제사회에서 많은 접촉을 했는데 이럴 때 북한 대표들을 그렇게 내는 것을 보지 못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외국에 가서는 국제기준에 맞게 하고 남북 회담에서는 과거처럼 존중대신 강요하는 행태는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청와대는 회담 무산 직후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대응방안 마련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TV 박성욱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