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남북한 경제 여전한 격차 [톡톡경제]

국민행복시대

남북한 경제 여전한 격차 [톡톡경제]

등록일 : 2013.07.17

남MC>

계속해서 최대환~

여MC>

리사 켈리가 함께 하는~

남MC>

앵커들의 수다, 톡톡경제 시간입니다.

리사 앵커, 북한 경제의 가장 큰 특징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여MC>

다른 나라와 교역이 거의 없는, 그러니까 문을 꼭 걸어잠그고 있다는 점 아닐까요?

남MC>

그렇습니다.

바로 전세계에서 가장 폐쇄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이죠.

여MC>

그럼 북한 경제의 규모나 성장률을 정확하게 알 수가 있나요?

남MC>

네, 사실 폐쇄적인 북한 경제에 관해서 정확하게 알아낸다는 건 거의 불가능한데요.

하지만, 관련된 자료들을 종합해서 비슷한 정도로 추정해볼 수는 있습니다.

여MC>

아하, 오늘 주제가 바로 북한 경제가 얼마나 성장했는지 알아보는 것이군요.

남MC>

네, 한국은행이 지난해 북한 경제 성장률 추정 결과를 내놨는데요.

작년에 북한 경제는 1.3% 성장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화면 보면서 설명 드리죠.

남MC>

북한 경제는 2008년 성장률이 반등했다가 2009년과 2010년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에, 2011년에 0.8% 성장한 데 이어서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여MC>

그럼 2년째 플러스 성장을 한 건데, 어떤 산업들이 호조를 보였나요?

남MC>

네, 명목 GDP의 23.4%를 차지한 농림어업 생산이 3.9% 늘어난 것과, 경공업, 중화학공업 생산이 모두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돌아선 것이 전체 성장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여MC>

그런데 몇 퍼센트 성장했다.

이런식으로 말하니까 느낌이 잘 안오는데, 남한 경제하고 비교를 해보면 어떤 결과가 나오나요?

남MC>

네, 그래서 남북한의 국민소득을 한번 비교해 봤습니다.

화면 함께 보시죠.

남MC>

지난해 북한의 국민총소득은 33조5천억원으로 우리나라의 38분의 1 수준이었습니다.

그리고 1인당 국민소득은 137만1천원 정도로 우리나라의 19분의 1 수준이어서, 남북간의 소득 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MC>

또 하나 궁금한 게 있어요.

개성공단이 북한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나 되나요?

굉장히 클 것 같은데요.

남MC>

맞습니다.

남북간 전체 교역 규모가 작년에 19억7천만 달러였는데, 이 가운데 개성공단을 통한 반출입이 무려 99.5%를 차지했습니다.

여MC>

북한은 어려운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개성공단을 꼭 정상화시켜야 되겠네요.

남MC>

네, 앵커들의 수다 톡톡경제, 오늘은 북한 경제에 관해서 알아봤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