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창조경제타운' 연계 국민행복기술 구현

희망의 새시대

'창조경제타운' 연계 국민행복기술 구현

등록일 : 2013.10.30

앵커>

여러분은 스스로 상상력과 창의성을 갖고 계신다고 생각하시는지요

이제 그 상상력과 창의성을 상품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요, 특허청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이충현 기자 나와주세요.

저는 정부 대전청사에 나와 있습니다.

여러분 혹시  어려서 부터 내가 갖고 있던 꿈 내가 갖고 있던 아이디어가 상품화가 되고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 이런 생각 해보신적 있으시죠?

그런데 상품화 까지 만들어내는 과정이 굉장히 어렵거든요.

오늘 이런 궁금증 해결해드릴 시간을 갖게 되었습니다.

오늘 도움 말씀 주실분은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과 김용선 과장입니다.

과장님 안녕하십니까?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실 것 같에요.

나도 한번 꿈을 키워보자 생각하실 것 같은데 굉장히 어려운 이야기입니다.

질문1>Q. '지식재산 기반 국민행복기술 구현사업'은?

지식 재산 기반 국민행복 기술 구현사업 어떤 내용인지 어떤 부분에서 이런 내용이 추진된 건지 추진 배경 말씀 해주시죠.

답변> 결국은 국민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꿈을 이뤄주는 사업입니다.

박근혜 정부가 경제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내세운 것이 바로 창조경제 아니겠습니까?

창조경제란 국민의 창조성과 상상력을 과학기술과 결합시켜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일자리까지 연결시키는 그러면서 결국 경제부흥을 이루자는 그런 목적을 가지고 있죠

특허청은 오래전부터 발명 아이디어를 공모하고 이를 또 사업화 시키고 구현시키는 사업을 많이 추진해왔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번에 창조경제에 맞게 아이디어를 실제 구현시키고 실제 경제부흥까지 일으키는 취지에서 이번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충현>

아무래도 없는 시장에 누눈가가 갖고 있는 아이디어가 또다른 시장을 개척하고 결국은 창조경제의 기본원리로 순환될 것이라는 생각에서 추진하실 걸로 이해가 되는 군요

질문2> Q.지원 대상 선정 기준과 지원 내용은?

그러면 국민행복 기술 구현사업 지원대상하고 대상으로 선정되면 어떤 식에 지원을 받게 되는 지 방법까지 말씀해 주시죠

답변> 국민행복기술구현사업은 누구나 지원할수 있습니다.

일반인 물론이고 학생 여성 그리고 청년 누구나 지원을받을 수있습니다.

그리고 국민행복기술구현사업 지원은 간단합니다.

미래부에서 지난 9월 30일 서비스를 게시한 창조경제타운이라고 있죠

창조경제타운을 통해서 국민 누구나 아이디어를 응모할수 있습니다.

미래부 창조경제타운을 통해 응모하시면 미래부에서 전문가들이 기술성과 사업성을 평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저희 특허청에서는 선행기술 조사를 하게됩니다.

저희가 가지고 있는 2억 3천만건의 전 세계 발명특허에 관한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기존에 나와있는 기술인지 스크린 해보는 거죠

최종적으로 미래부가 특허청이 공동으로 사업전문가 창업전문가 기술전문가 변리사같은 전문가들이 최종사업 지원대상자를 선발하게 되는 거죠

이충현 추가 질문>

일단 그 과정에서 지원하신 분들께 비용이 발생하는 부분은?

답변> 전혀 없습니다. 단지 획기적이고 독창적이고 참신한 아이디어만 내시면 나머지는 저희가 지원해드립니다.

정말 좋은 사업입니다.

질문3>Q.국민행복기술 구현사업 향 후 계획은?

그러면 국민행복 기술 구현사업 이런 좋은 취지로 시작되었는데 앞으로 어떤 식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신지 향후계획 말씀해주시죠?

답변> 일단 올해 안에 최소 30건에 대해서 지원을 해서 구체적인 성과를 낼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내년에는 이 사업의 성과를 내실있게 발전시키고 구체화시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충현 기자 마무리 멘트>

일단 이번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정보공개 협업의 대표적인 사례가 될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자기 꿈을 키워왔는데 이제 좀 방향을 잡고 가실 것 같습니다.

오늘 어려운 말씀 잘 풀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충현 기자 마무리 멘트>

그런 보도가 얼마 전에 있었습니다.

공대 졸업생 대부분은 창업을 비하고 우리나라 대학 졸업생 대부분은 취업을 준비한다.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내용입니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좋은 아이디어를 기록하고 관심사를 키워오셨다면 지금부터라도 정리를 조금 더하셔서 미래부 창조경제타운홈페이지 직접 한번 등록해보시고 산업화까지 생산성 까지 이어보시는 건 어떨까 싶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