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지난 16일 발생한 서울 삼성동 민간 헬기사고와 관련해 정부가 긴급 안전대책회의를 열고 방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안전강화를 위한 고강도 대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우섭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최근 발생한 삼성동 민간헬기 사고와 관련해 긴급안전대책회의가 열렸습니다.
헬기를 보유한 국가기관 5곳과 민간업체 30여 곳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정부는 100여 대에 이르는 헬기에 대한 안전관리실태 점검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여형구 / 국토교통부 2차관
"안전운항을 위한 기본 규정준수 여부를 재검토 해주시기 바랍니다. 운항·정비 매뉴얼과 종사자 교육훈련, 항공기·시설상태 등 전 분야에 대해서 안전점검을 실시해 발견된 미비점을 조속히 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 안개와 폭우 등 기상이 좋지 않을 때는 무리한 운항을 하지말고 정비 규정도 꼭 지켜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도심이나 인구밀집지역을 운항하는 승무원에 대한 특별교육도 주문했습니다.
국민소득이 향상되면서 레저항공분야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레저항공분야에 대한 안전강화 방안도 논의될 예정입니다.
한편, 삼성동 사고 헬기의 블랙박스는 기술적인 문제로 국내 해독이 어려워 제조사인 미국 시콜스키사로 보내졌습니다.
해독은 항공기 특성상 6개월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장멘트> 신우섭 기자 / isswoo@korea.kr
국토교통부는 현재 진행 중인 특별점검결과와 오늘 회의결과를 반영해 헬기안전기준을 보완하고, 새로운 기준을 도입한 헬기안전종합계획을 다음 달 안에 마련할 계획입니다.
KTV 신우섭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